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20년 동안 붓고 오늘(26일) 타러 오신 거예요? 그땐 7800원이 큰돈이었는데.”
“네 큰돈이었지요. 지금은 7800원이 작은 돈이지만 500만원은 그래도 큰 돈이지요.”
“그럼요 큰돈이고 말고요. 이게 이자율이 굉장히 좋은 상품이에요.”

은행 과장이란 남자가 한동안 그 통장을 뚫어져라 쳐다본다. 그때 여직원이 “고객님 이 돈 어떻게 드릴까요?”라고 하길래 “이 통장에 넣어주세요”라고 대답했다.

매달 7800원씩을 20년 동안 붓고 500만원이 된 적금을 타는 날이다. 지난밤엔 괜스레 마음이 설레 잠에 쉬 들지 못했다. 통장과 도장을 만져보고 쳐다보고 또 만져보았다. 기어이 해냈다는 생각이 들어 기분이 최고였다. 만원도 안 되는 돈을 20년 동안 넣으면서 우여곡절도 있었다. 그러기에 더욱 애착이 가는가보다.

@BRI@20년 전, 서울 은평구 응암동에 살 때였다. 그때 남편의 사업이 기울어지면서 모든 것을 정리하고 단칸 셋방으로 자리를 옮겼다. 큰아이는 3학년, 작은 아이는 유치원에 다니고 있었다. 어렵게 새 출발을 시작하고, 적은 돈이지만 매달 조금씩 저축도 하고 적금도 들었다. 그때 서대문에 있는 주택은행에 이 적금을 들었다.

그 당시에는 지금처럼 은행이 많지 않아 본인이 원하는 은행을 가려면 버스를 타고 몇 정거장씩 가는 것이 흔한 일이었다. 그 적금의 이율이 좋다고 해서 나도 없는 셈 친다면서 20년 만기로 들었던 것이다. 그런데 이상한 것이 20년이 그다지 길게 느껴지거나 지루할 거란 생각이 들지 않았다. 적은 돈이지만 차곡차곡 쌓여가는 돈의 액수가 작은 행복도 맛보게 해주었다.

그러던 어느 날 남편이 실직을 하게 되었다. 남편이 다니던 직장의 사업주가 바뀌면서 본의 아니게 사표를 내게 된 것이다. 가장의 실직은 모든 것을 황폐하게 만들기에 충분했다. 그동안 조금씩 저축한 돈과 적금도 모두 해약해서 생활비로 충당해야 했다. 그러나 그 돈만큼은 건드리지 않고 싶었다. 만약 그 돈이 매달 7만8000원씩이나 그 이상을 부었다면 아마도 제일 먼저 해약했을 것이다.

하지만 적은 돈이기에 해약해서 써도 2~3달이면 몽땅 없어지고, 흐지부지 될 것이 너무나 뻔한 일이란 것을 알았던 것이다. 남편에겐 그 돈이 있다는 것조차 내색도 하지 않았다. 또 그것마저 해약을 한다면 앞날에 대한 희망이 없어질 것만 같았다. 가장이 실직을 했으니 아무리 적은 돈이지만 적금은 붓지 못한 채였다.

한 달 두 달, 실직상태가 계속 되었고 6개월을 넘기고 있었다. 답답했던 남편은 막일이라도 찾아본다고 했다. 막일도 한 두 달 정도는 했던 것 같다. 나도 그런 남편이 안쓰러워 아주 기본적인 생활만 하고 그 이상은 바라보지도 않았다. 그리고 반찬값이라도 보태기 위해 부업을 하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나는 ‘어쨌든 빚은 지면 안 되는데 아이들이 더 크기 전에 이 고비를 잘 넘겨야지’하는 생각으로 마음을 다잡아 먹기도 했다.

시장도 비교적 싸다고 소문이 나서 서민들이 많이 찾는 불광동 시장이나 용산 시장까지 다녔다. 그곳에서 장을 한 번 봐오면 일주일이나 10일 정도는 시장에 거의 가지 않고 동네에서 두부나 콩나물로 해결했다. 그러던 중 남편이 여기저기 직장에 끈을 놓고 사람들을 찾아다니더니 10개월만에 재취업에 성공을 했다.

직장에 취직은 했지만 그동안 있는 돈 없는 돈 모두 끌어다 썼으니 적금을 붓기란 그리 녹록치 않은 일이었다. 1년도 훨씬 지나서 적금을 붓기 위해 그 은행을 다시 찾았다. 1년 이상 밀린 통장과 두 달 치 적금 1만5600원을 내밀었다. 그런데 은행 직원이 “이 적금이 너무 많이 밀려서 오늘 절반 이상 내지 않으면 자동해약이 됩니다”한다.

‘안 되지. 내가 이 적금을 어떻게 지켜 왔는데. 그럴 수는 없지’하곤 가지고 간돈 중에서 차비만 남겨놓고 겨우 절반 이상을 불입할 수 있었다. 그리곤 그 다음 달에 가서 나머지 절반을 마저 불입을 하고 정상적인 통장을 만들어 놓았다. 그것이 그 적금 시작하고 6년째 되던 해에 일어난 일이었다. 그 후로 그 적금통장에는 무슨 일이 있어도 우선적으로 불입했다.

은행직원이 계산을 해본다.

“가만히 있어봐 7800원 x 240개월 = 187만2000원 붓고 500만원 타시네요.”

200만원도 안 붓고 500만원을 탄다면서 “이 상품 개발한 사람...”하면서 말끝을 흐린다. 한 달에 7800원씩 20년을 부어온 것이 어느새 끝이 나다니. 나도 20년의 세월이 잘 믿기지 않았다. 하룻밤 긴 꿈을 꾸고 난 듯했다.

그 적금 불입날짜가 되어 은행에 갈 때는 아주 가끔은, 이왕이면 그때 조금 더 큰 것에 가입할 것을 그랬나 하는 욕심도 생겼었다. 하지만 그런 아쉬움도 잠깐. 다시 생각해 보면 그때는 그것도 나에게는 큰돈이었고 그것마저도 안 들어 놨으면 어쩔 뻔했어 하곤 스스로에게 위로를 해준다.

난 가끔 아이들한테 그 통장을 보여줬었다. 그럼 아이들은 “엄마 그 적은 돈을 그렇게 긴 시간 동안 모으면 지루하지 않아? 난 짜증날 것 같아”한다. 그럼 난 “아니야 니들이 몰라서 그렇지. 이렇게 적은 돈이 모여서 큰돈이 된다고 생각하면 아주 재미있다. 큰돈하고는 주는 묘미가 다르다” 했었다. 그 당시에 그 적금을 들기 위해 이른 새벽부터 주택은행에 새까맣게 줄을 섰던 기억도 난다.

다른 통장에 500만원을 입금시켜 놓고 은행 문을 나섰다. 난 남편에게 전화를 했다. “나 오늘 그 적금 탔다.” 남편이 “당신 그 돈으로 뭐할 건데?” “글쎄 저 강원도 오지에 가서 땅이나 알아볼까?” “그래 그러자. 땅 보러 가자고.” 남편이 장단을 맞춰준다.

나도 남편도 안다. 요즘 돈 가치가 그전만 못하다는 것을. 하여 제대로 된 땅 한 평도 못 산다는 것을. 하지만 남편이나 나나 그 돈의 가치는 그 이상이란 것을 또 알고 있다. 사람이 아무리 깊은 절망 상태에 빠진다 해도, 작은 희망의 끈을 놓지 않는다면 작은 열매를 맺을 수 있다는 것을 이번에 절감하게 되었다.

난 20년 동안 부어온 적금을 타고 7년 만기의 적금을 새로 들었다. 남편이 “한 3년 만기로 하지 지루하지 않을까?” “지루하긴. 7년 잠깐 가지.” “하긴 당신은 20년 동안을 부어 온 사람이니깐 7년은 잠깐이지.”오늘 저녁 남편과 근사한 외식을 하면서 자축파티라도 열어야겠다.

덧붙이는 글 | 나만의 특종 응모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주로 사는이야기를 씁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