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나라지방의 호류지 중문, 2층으로 되어 있고, 좌우에 무서운 형상의 금강역사가 자리잡고 있다.
나라지방의 호류지 중문, 2층으로 되어 있고, 좌우에 무서운 형상의 금강역사가 자리잡고 있다. ⓒ 신병철
호류지는 나라의 중심부에서 다시 버스를 타고 40리쯤 가면 나타난다. 남문을 거쳐 중문에 이르면 절간의 모습이 드러난다. 중문은 닫혀있어 옆으로 난 입구로 들어간다. 남문과 중문은 남북일직선상에 자리하고 있으나 5층목탑과 금당은 동서로 배열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드문 구조를 지녔다. 이 부분이 전체 호류지의 서원에 해당한다.

금당의 구조는 특이하다. 지붕은 3층이나 내부는 2층으로 된 듯하다. 잘 다듬은 화강암으로 아랫 기단을 쌓고 그 위에 상층 기단을 올렸는데, 상층 기단은 기와지붕처럼 만들었다. 그 위에 2층 지붕을 올렸다. 공포가 매우 고식이다. 서까래와 평행한 부재로 도리에 지붕의 무게를 받치고 있다. 우리의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까지 존재했던 하앙식 구조이다. 1층과 2층 사이에 난간을 둘렀는데, 이 난간은 실상사 백장암 3층석탑의 난간 모습과 동일하다.

호류지의 금당과 5층목탑, 뒷편에서 찍었기 때문에 입구에서 보이는 것과는  좌우가 바꼈다. 재건 법륭사의 건물,  그것이라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 중 하나이다.
호류지의 금당과 5층목탑, 뒷편에서 찍었기 때문에 입구에서 보이는 것과는 좌우가 바꼈다. 재건 법륭사의 건물, 그것이라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 중 하나이다. ⓒ 신병철
이런 하앙식 구조는 바로 옆의 5층탑(일본에서는 5중탑이라고 한다)에서도 그대로 나타나 있다. 이런 하앙식 구조는 고려시대 들어가면서 주심포 형식으로 발전했다가 조선시대 들어가면 다포양식으로 더욱 발전해 갔다.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완주 화암사에 그 형태가 일부 남아 있다.

왼쪽은 하앙식 구조, 왼쪽은 호류지의 금당의 하앙식 구조이고, 오른쪽은 완주 화암사의 하앙식 구조이다. 오른쪽 위는 실상사 백장암 3층석탑의 난간이고 아래쪽은 법륭사 금당 2층 난간이다.
왼쪽은 하앙식 구조, 왼쪽은 호류지의 금당의 하앙식 구조이고, 오른쪽은 완주 화암사의 하앙식 구조이다. 오른쪽 위는 실상사 백장암 3층석탑의 난간이고 아래쪽은 법륭사 금당 2층 난간이다. ⓒ 신병철
금당 서쪽에 있는 목조 5층탑은 일단 너무나 멋있다. 화강암으로 동서남북에 계단을 가진 기단을 만들었다. 지붕은 모두 6개이지만 1층 지붕 아래에 있는 지붕은 상층 기단으로 봐야 할 것이다. 일정한 비례로 지붕은 위로 올라가면서 줄어들지만 석탑처럼 심하게 축소되지 않았다. 돌보다는 훨씬 무게가 덜 나가는 목재이기 때문에 가능했을 것이다. 이런 구조로 말미암아 상승감과 함께 단아하고 웅장한 모습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호류지 5층목탑, 화강암과 지붕으로 된 2중 기단 위에 5층의 지붕을 올렸다. 목탑의 아름다움이 절절이 배어나온다.
호류지 5층목탑, 화강암과 지붕으로 된 2중 기단 위에 5층의 지붕을 올렸다. 목탑의 아름다움이 절절이 배어나온다. ⓒ 신병철
그런데, 이곳의 법륭사는 재건 법륭사이고, 이것조차도 이후에 화재가 있어 재재건했다고 하는데, 이런 사실은 잘 알리지 않고 있다. 재건 법륭사의 금당과 5층탑이라면 세계적으로도 가장 오래된 목조건축물에 속하는 것이다.

금당과 5층탑을 회랑이 빙 둘러싸고 있다. 우리의 삼국시대와 통일신라 시대 사찰에 회랑이 있었다. 회랑은 내부의 통로이면서 안과 밖을 구분짓는 담장이기도 했다. 평지의 사찰에서는 이런 회랑이 필요했다. 그러나 점차 산지가람이 되면서 경사에 의해 안과 밖에 자연스럽게 구분되면서 우리나라에서는 사라졌던 것이다.

이 회랑의 남쪽문이 중문이다. 중문의 위용도 대단하다. 양쪽에 인왕역사 두 분이 서로 마주보면서 사찰을 보호하고 있다. 건축 양식은 모두 금당과 5층탑의 양식과 동일하다. 남문을 통하여 안으로 들어갈 때 사찰의 제대로 된 분위기를 느낄 수 있을텐데, 통행을 제한하고 있어 안타까웠다.

호류지 금당 석가여래삼존상, 손은 통인으로 삼국시대 불상의 손모양이고 대좌를 가득 덮고 있는 모습도 백제에 많다. 길고 가는 얼굴은 중국 북위와 고구려 식이다
호류지 금당 석가여래삼존상, 손은 통인으로 삼국시대 불상의 손모양이고 대좌를 가득 덮고 있는 모습도 백제에 많다. 길고 가는 얼굴은 중국 북위와 고구려 식이다 ⓒ 신병철
금당에는 중앙에 목조 석가삼존상이, 동쪽에 약사여래좌상이 모셔져 있다. 석가삼존상은 길쭉한 얼굴에 약간 미소를 띠고 있으며, 손모양은 오른손은 위로 들고 있고, 왼손은 아래로 손바닥을 펴보이고 있다. 통인이라는 자세로 어떤 소원이라도 성취시켜 주겠다는 의미라고 한다.

좌우의 협시보살의 모습은 상당히 눈에 익은 모습이다. 허벅지에서 X자로 교차하는 옷자락하며 왼팔에 걸치고 있는 옷자락이 우리나라 보살상들과 매우 닮았다. 길쭉한 얼굴은 중국 북위식이다. 고구려도 북위식 길쭉한 얼굴 불상이 나타나는데, 이런 고구려 백제의 불상이 일본에까지 전달된 것으로 보인다. 광배의 연꽃과 화염무늬들도 우리나라에서도 많이 볼 수 있는 모습이다.

약사여래좌상의 모습은 석가삼존상의 본존불좌상과 거의 같다. 통인의 손모양에 대좌를 가득 덮은 가사자락, 양 어깨를 덮고 내려온 윗옷이 가슴 앞에서 큰 U자를 만들고 있다. 석가삼존상에 쇼토쿠태자를 위하여 623년에 일본사람 도리가 만들었다는 명문이 있다. 일본에서는 이 명문을 그대로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 명문은 후대에 첨기한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비판하고 있다.

호류지 중문 좌우의 금강역사상, 8세기 나라시대가 지나면 일본의 불상은 일본색을 띠게 되는데, 금강역사나 사천왕상은 이렇게 험상궂게 변했다.
호류지 중문 좌우의 금강역사상, 8세기 나라시대가 지나면 일본의 불상은 일본색을 띠게 되는데, 금강역사나 사천왕상은 이렇게 험상궂게 변했다. ⓒ 신병철
금강역사상

그런데 나머지 부처님 권속들은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모습과는 차이가 좀 나는 듯하다. 아마도 제작 시기가 늦어, 일본의 분위기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금강역사나 사천왕상들은 무서운 표정을 짓고 있다하더라도 어딘가 부드럽고 인자한 모습이 있는데, 일본풍이 가미된 천왕이나 역사들은 대단히 험상궂다. 인자한 구석은 보이지 않는다.

백제가 538년부터 일본에 불교를 전파했다. 삼국간의 치열한 경쟁에서 일본을 끌어들이기 위해서 친밀한 관계를 맺을 필요가 있었다. 일본의 야마토 조정은 고대국가 체제를 구축하는데 그 이념으로 불교가 필요했던 것 같다.

백제 위덕왕은 588년에 사찰 건축하는데 필요한 수십 명의 인원을 일본에 파견하여 절간을 짓고 법흥사라 불렀다. 법흥사는 탑을 중심에 두고 3개의 금당이 둘러싸고 있는 배치를 지녔다. 고구려 가람배치에 이와 같은 모습이 보인다. 지금 법흥사는 사라지고 그 곳에 아스카테라라는 조그만 절이 들어서 있고, 백제의 지원 아래 지은 호코지(법흥사)는 흔적을 찾기가 힘들다고 한다.

법륭사(호류지) 가람배치도, 서원, 동원, 약초가람 등으로 구분되는데, 아래쪽 입구쪽 텅빈 공간이 약초가람인데, 창건법륭사의 터이며 남북일직선상에 탑과 금당이 배치하고 있었다.
법륭사(호류지) 가람배치도, 서원, 동원, 약초가람 등으로 구분되는데, 아래쪽 입구쪽 텅빈 공간이 약초가람인데, 창건법륭사의 터이며 남북일직선상에 탑과 금당이 배치하고 있었다. ⓒ 신병철
뒤이어 607년에 백제는 백제의 기술자를 총동원하여 나라지역에 법륭사를 지었다. 창건법륭사는 670년에 불타버렸고, 680년이나 690년 경에 통일신라는 다시 대규모 기술자를 파견하여 법륭사를 재건했다. 지금의 법륭사는 창건 법륭사가 아니고 재건 법륭사라고 한다.

창건 법륭사는 일본에서는 약초가람(若草伽藍 와카쿠사가람)이라 부르는데, 호류지 남대문 바로 오른쪽 공간에 위치하고 있다. 발굴한 창건법륭사의 가람은 1탑 1금당 양식인데, 우리나라 삼국시대의 대표적인 가람배치와 같다. 부여 정림사터의 배치와도 같은데, 백제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덧붙이는 글 | 1월 11일부터 14일까지 여행한 것의 기록입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제주도에서 살고 있습니다. 낚시도 하고 목공도 하고 오름도 올라가고 귤농사도 짓고 있습니다. 아참 닭도 수십마리 키우고 있습니다. 사실은 지들이 함께 살고 있습니다. 개도 두마리 함께 살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