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 권윤영
잠시의 머뭇거림도 용납하지 않고 빠르고 편한 것만 추구하는 디지털 시대에서 아날로그의 여유를 즐기면서 삶의 텃밭을 가꿔나가는 사람이 있다.

보문산자락에 터를 잡고 옛 정취를 물씬 풍기는 ‘춘추민속관’의 정태희(50) 사장이 바로 그 사람이다.

뜰을 자유롭게 돌아다니며 연신 ‘꼬끼오’를 외쳐대는 닭들, 앞마당에 놓인 수 많은 장독들, 도심 속에서 좀처럼 보기 힘든 기와집과 초가집 등 보문산 중턱에 위치한 춘추민속관의 분위기에서부터 정 사장의 독특한 삶의 방법이 엿보인다.

잔잔한 미소로 기자를 맞은 정태희 사장은 이곳의 풍경과 한 폭의 그림처럼 잘 어울리는 그야말로 이 시대 민초의 모습 그대로였다.

“저는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사는 사람입니다. 대중, 서민, 농민들은 격식 차리고 살 만큼 시간도 없을 뿐만 아니라 모양새나 격식이 필요 없죠. 늘 어떤 자리에서든 팔 걷어붙이고 일할 수 있는 복장을 좋아해요.”

춘추민속관의 역사는 무려 20년이 넘었다. 야외에는 초가집과 석제품을 갖추고 있고, 농경유물 등 민속유물 무려 6000여 점을 소장하고 있다. 특히 초가집은 대전에서 유일하게 남아 있는 것.

몇년전까지 1, 2층의 전시관을 무료로 운영하기도 했지만 도로확장 공사로 현재는 철거된 상태라 유물들은 대부분 창고에 보관되어 있다. 하지만 향토 전통음식점 곳곳에 이제는 좀처럼 찾아보기 힘든 우리의 민속유물을 볼 수 있다.

“저는 돈이 되는 물건은 별로 좋아하지 않습니다. 역사적으로 선조가 쓰고, 손때가 묻은 물건이나 민초들의 희로애락이 담겨 있는 물건을 수집해요.”

그가 우리나라 민속유물에 관심을 가진 것은 지난 76년부터. 대청댐 수몰로 자신이 살던 마을이 수장되는 것을 지켜보며 짧은 순간에 역사 깊은 곳이 수장된다는 것이 아쉽게 비쳐졌다. 어릴 때부터 할아버지들이 옛날 물건을 소중히 여기는 모습을 많이 봐왔기 때문에 그 또한 우리 것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됐다.

그는 수몰되는 곳이나 재개발 등지를 찾아 사소한 것부터 버려진 물건을 주워온다. 요즘도 철거촌 등을 찾아 잊혀져가는 민속품을 찾아 헤매지만 시간이 갈수록 점점 찾기 힘들단다.

“요즘은 뭐든지 쉽게 부숴 버리고 묻어 버리는 것 같습니다. 보존할 것을 보존하지 않고 획일적으로 모든 것을 바꿔 나가고 있어요. 재개발로 길이 넓어지는 것만큼 이웃과의 정도 그만큼 넓어지고 있죠. 우리 민족 찾기를 해 본래의 모습을 되찾는다면 세상사 이처럼 각박하거나 사람들이 자신만 알고 이득만 취하진 않을 것 같습니다.”

ⓒ 권윤영
돈도 되지 않는 옛날 물건을 사오고 애지중지하는 그의 모습을 보고 가족이 좋아할 리 없었지만 세월이 흐름과 관계 없이 한결같은 그의 모습을 보고 차츰 이해하고 인정하기 시작했다. 그가 하는 일을 보고 장삿속이냐고 시기하고 폄하하는 사람에게도 그는 묵묵히 20년이 넘는 세월 동안 한 모습을 보여줬다.

“어려운 일이라 말하고 싶지 않습니다. 좋아서 스스로 하는 일은 지나치게 남의 탓을 해서는 안되죠. 한번뿐인 인생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살면 그만 아닌가요. 다른 길로 살아서 지위와 돈을 쫓아서 살 수 있었을지 모르지만 지금이 좋습니다.”

선비춤을 추러 다니고 국악공부도 하고 우리의 멋이 담긴 건물을 답사하는 것을 좋아하는 정 사장은 컴퓨터도 못하고, 사진 찍는 것도 싫고, 선풍기나 에어컨 바람도 필요 없다. 그의 집에는 그 흔한 선풍기 한 대 없을 정도. 더우면 더운 대로 추우면 추운 대로 자연의 섭리에 따라 살아가는 그는 양복 한 벌도 갖고 있지 않다.

“겉모습만 보고 평가하는 세상이다 보니 양복을 입지 않고 관공서에 갔다가 제지당한 적도 있었죠. 더러 한복 입고 거리를 걸어가는 사람들을 보면 아름답게 봐줬으면 좋겠고 겉모습만 보고 사람을 폄하해서 생각하지 않았으면 좋겠네요.”

“앞으로는 서민들의 삶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박물관을 운영하고 싶습니다. 자연과 가까이 숨 쉴 수 있는 산 밑에 있으니 우리의 것을 지킬 수 있는 더 없이 좋은 장소인 듯 합니다. 박물관은 한국의 정서가 듬뿍 담긴 건축물이 될 거고요.”

한 점, 두 점 민속유물이 모아지고 몇 천 점 되고 점차 손댈 것도 많아졌지만 그의 삶과 함께하는 물건들이 많기에 삶에 있어서 윤활유가 되고 버팀목이 된다는 정태희 사장. 시골스럽고, 자연스럽고 옛스러운 것을 추구하며 모두가 변해도 제자리에 서 있는 사람. 이 시대 민초가 살아가는 모습이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