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액트지오를 소개하는 한국어 홈페이지
 액트지오를 소개하는 한국어 홈페이지
ⓒ 액트지오 홈페이지 갈무리

관련사진보기

 
동해 포항 영일만의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을 분석한 회사 '액트 지오(ACT Geo)'를 소개하는 한국어 홈페이지가 개설됐습니다.

actgeo.co.kr라는 도메인으로 개설된 홈페이지 첫 화면엔 "동해 유전의 성공 확률은 대단히 높습니다"라는 문구가 크게 적혀 있습니다. 아래에는 "Act Geo는 대한민국 산유국 꿈을 응원합니다"라고도 적혀 있습니다.

또한 "자원탐사 전문업체 ACT GEO Korea"라는 문구와 함께 웹사이트 준비 중이라는 설명도 붙었습니다.

소개란에는 "2016년 미국 휴스턴에 설립된 액트지오(ACT-GEO)는 22국 31개 현장에서 지질 평가와 시추 사업에 참여했다"면서 "미국의 아파치(Apache)사, 중국해양석유(CNOOC) 등 세계의 40여 개 유망 업체와 지질 평가 및 시추 프로젝트를 진행했고, 2015년에는 미 정유사 엑손모빌과 세계 최대 심해 석유·가스전으로 알려진 남미 가이아나 광구 탐사에도 참여했다"고 밝혀놨습니다.

본래 회사와 다른 아이콘... 한국어 홈페이지 주소 검색해보니
 
왼쪽이 액트지오 한국어 홈페이지, 오른쪽이 아브레우 고문이 몸 담고 있는 액트지오 홈페이지. 두 페이지의 홈페이지 아이콘이 서로 다르다.
 왼쪽이 액트지오 한국어 홈페이지, 오른쪽이 아브레우 고문이 몸 담고 있는 액트지오 홈페이지. 두 페이지의 홈페이지 아이콘이 서로 다르다.
ⓒ 인터넷 갈무리

관련사진보기

 
한국인터넷진흥원의 후이즈(WHOIS) 검색 결과, actgeo.co.kr의 도메인 등록일은 6월 5일이었습니다. 또한 등록인은 "도메인 관리자", 등록대행자는 한국의 한 인터넷 서비스 업체였습니다. 일부 언론은 '회사 전문성에 관한 의혹이 끊임없이 제기되는 상황이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이라고 풀이했습니다.

그러나 한국석유공사는 10일 오후 4시쯤 별도의 보도설명자료를 내고 "액트지오가 국내 공식 한글 홈페이지를 개설한 것으로 확인됐다는 기사 내용은 확인 결과 사실이 아님을 알려드린다"라고 밝혔다. 

일각에선 홈페이지의 구성이 단순하고 페이지 하단에 "도메인, 웹사이트 판매합니다"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는 점에서 도메인 선점과 판매를 노린 누군가가 만든 한국어 홈페이지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합니다. 

의문스러운 대목은 또 있습니다. 해당 홈페이지 하단에는 주소 및 사무실 전화번호가 나와 있습니다. 해당 주소를 구글 지도에 검색한 결과 캐나다 벤쿠버 형사재판소 인근의 건물이 나왔습니다. 또한 기재된 사무실 전화번호에 전화를 걸면 "통화량이 많아 연결되지 않았다"는 안내가 나옵니다.
 
actgeo.co.kr 홈페이지에 기재된 주소를 구글지도에 검색했더니 벤쿠버 형사재판소 인근의 한 건물이 나왔다.
 actgeo.co.kr 홈페이지에 기재된 주소를 구글지도에 검색했더니 벤쿠버 형사재판소 인근의 한 건물이 나왔다.
ⓒ 구글지도 갈무리

관련사진보기


앞서 정청래 민주당 최고위원은 엑트지오를 가리켜 "사실상 1인 기업이고 본사가 가정집인 구멍가게 수준"이라며 "선정과정에서의 검은 커넥션은 없었을까"라고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또한 지난 7일 <시사IN>은 액트지오가 주 영업세를 납부하지 않아 4년간 법인 자격이 박탈된 상태였다고 보도했습니다. 

액트지오 아브레우 고문은 지난 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미국 본사 주소지가 제 자택이 맞다"면서 "액트지오는 컨설팅 업체로서 소규모 컨설팅 업체가 대형 프로젝트 분석에 나서는 것이 이 업계에서는 흔한 일"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날 그는 "석유·가스 부존 가능성이 20%"라고 제시하면서 "굉장히 양호하고 높은 수준"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덧붙이는 글 | 독립언론 '아이엠피터뉴스'에도 게재됐습니다


태그:#액트지오, #동해석유, #포항영일만, #액트지오홈페이지, #한국석유공사
댓글6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립 언론 '아이엠피터뉴스'를 운영한다. 제주에 거주하며 육지를 오가며 취재를 하고 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