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서울 서소문 일대에 서울광장 크기의 개방형 녹지가 만들어진다. 사진은 서소문 도심광장 안의 예시.
 서울 서소문 일대에 서울광장 크기의 개방형 녹지가 만들어진다. 사진은 서소문 도심광장 안의 예시.
ⓒ 서울시 제공

관련사진보기

 
서울 서소문 일대에 서울광장 크기의 개방형 녹지가 만들어진다. 

서울시가 도심 개발과 녹지공간 확보를 동시에 한다는 구상을 담은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을 16일 내놓았다.

대규모 민간 개발 시 대지 내 건축물의 면적을 건폐율 50% 이하로 줄이고 저층부에 30% 이상의 녹지와 개방형 공공공간을 조성하는  사업안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도시정비형 재개발 정비계획을 통해 법적으로 확보되는 공원의 면적은 약 5% 정도에 불과하다.

시는 "건물의 부속 형태로 조성되는 기존의 공공부지는 보행환경을 저해하고 활용도가 떨어진다" 중구 다동공원 등 10곳에 새로운 녹지공간 구상을 적용한 정비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우선 서소문빌딩과 중앙빌딩, 동화빌딩이 모여있는 서소문 일대에 서울광장(약 1만3205㎡) 규모의 개방형 녹지(민간대지 내 지상부 중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상부 개방 공간)를 조성해 열린 정원과 클래식 공연장이 어우러진 새로운 문화거점을 만들려고 한다.

이 밖에 ▲ 을지로3가 1·2지구 ▲ 을지로3가 10지구 ▲ 명동 1지구 ▲ 양동 4-2·7지구 ▲ 봉래 3지구 ▲ 광희동 1가 등이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 대상지가 됐다.

서울시는 녹지생태도심의 정비계획 수립부터 설계, 시공, 유지관리까지 아우르는 '개방형녹지 가이드라인'을 올해 하반기까지 수립할 예정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도심 속에 공원녹지를 많이 만들수록 빗물이 유입되는 지형이 조성된다"며, "이를 통해 투수율이 높아져 지하로 흘러드는 빗물이 늘어나면서 폭우시엔 홍수 조절효과와 함께 도시 열섬화도 완화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태그:#서소문, #녹지공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