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걸그룹 '에스파'가 지난해 12월 25일 오후 '2021 SBS 가요대전' 포토월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걸그룹 "에스파"가 지난해 12월 25일 오후 "2021 SBS 가요대전" 포토월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 SBS

관련사진보기


지난 2일 걸그룹 '에스파'는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경복고등학교 101주년 기념식에 축하 공연을 위해 참석했다가 봉변을 당했다.

이날 온라인 커뮤니티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통해 확산된 현장 사진과 영상을 보면 에스파가 이동을 위해 움직일 때 남자 고등학생들이 몰려 통행이 어려울 정도였고 동의 없이 카메라를 들이대거나 손을 잡으려고 하는 시도도 있었다. 심지어 공연 중에 학생들이 무단으로 무대에 난입하는 상황까지 벌어졌다.

이뿐만이 아니었다. 일부 학생들이 에스파 멤버 사진을 인스타그램에 올리면서 "만지는 것 빼고는 다했다" 등의 말을 덧붙인 사실까지 알려지면서 논란이 더 커졌다.

경복고 공연은 소위 '팬덤'이 참석해 응원하는 공연은 아니었다. 팬들이 많이 찾은 공연이었다면 무례한 행동이 자체적으로 규제가 됐을 가능성이 높다. 팬덤 내에서는 돌출 행동을 제지하는 분위기가 있을 뿐더러 적어도 자신이 사랑하는 '아티스트'에게 피해를 주지 말자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날 공연은 일반 고등학생들이 관람했고 팬덤에서의 '룰'이 적용될 리 만무했다. 그저 유명한 연예인이니 가까이 가고 싶고 사진을 찍어 주위에 자랑하고 싶은 마음이 컸을 것이다. 여기에 더해 여성 아이돌에 대한 온라인상의 '성적 대상화' 역시 통제되지 않았으니 문제가 '성희롱'으로 치닫게 됐다.

이날 논란이 일자 경복고는 학교 홈페이지에 사과문을 올리고 에스파와 소속사인 SM엔터테인먼트에 사과한다면서도 "경복 학생이 아닌 외부 인사 몇 명이 행사장을 찾아왔으나 안전 관계상 출입을 허가하지 않았던 사실이 있었으며, 그 일로 인하여 일부 SNS에 결코 사실이 아닌 악의적인 글이 게재되지 않았나 유추할 수 있다"라며 책임을 회피하기에 급급했다.

하지만 논란이 잦아들지 않자 경복고는 두 번째 사과문을 홈페이지에 게시한다. 이번에는 "공연 질서유지에 노력하였으나 일부 학생들이 공연 관람에 성숙하지 못했고, 행사가 끝난 후 SNS에 공연 사진과 글을 올려 물의를 일으켰다"라며 "학교에서는 성인지 감수성 교육을 시행하여 재발 방지를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으나, 사과의 의미는 퇴색된 뒤였다.
 
경복고등학교의 두 번째 사과문
 경복고등학교의 두 번째 사과문
ⓒ 경복고등학교

관련사진보기


"'성적 대상화'나 '폭력적 문화' 되돌아봐야"

이번 사건에 대해 우리 사회가 10대 남성들이 자연스럽게 생각하는 '성적 대상화'나 '폭력적 문화'를 되돌아보는 한편 학교가 나서서 '성평등', '디지털 성폭력' 등에 대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남성 성평등 교육활동가인 이한씨는 <오마이뉴스>와 한 통화에서 "또래 집단에서 '남성성 과시'의 일환으로 벌어지는 '성적 대상화'의 문제"라며 "젊은 남성들의 성적인 욕망의 표현이 당연하거나 '어쩔 수 없는 것'처럼 또래에서 권장되는 경향이 있다. 자연스러운 욕망 역시 표현하거나 누군가에게 가닿을 때는 '폭력적으로' 느껴질 수 있다는 것을 학생들이 인식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이씨는 SNS상의 성희롱에 대해서는 "성인지감수성, 성평등 교육뿐만 아니라 디지털 성폭력에 대한 교육도 병행되어야 한다"라며 "온라인 공간에 올린 글·사진·영상 등은 엄청나게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고, 한 번 퍼져나가면 걷잡을 수 없다는 걸 학생들이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쉽게 폭력적인 발언을 한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결코 이번 일은 '치기 어린 장난'이 아니다. 우리 사회에서 오랫동안 지속해왔던 남성들의 폭력적 문화의 단면이 드러난 부분이며, 이를 변화시키기 위해 학교에서도 체계적인 교육을 고민해야 한다. 성인지 감수성 한 시간 교육해서는 절대 변하지 않는다"라고 강조했다.

이번 사건을 통해 '연예인 인권' 문제를 가시화해야 한다는 문제 제기도 나왔다. 장민지 경남대 미디어영상학과 교수는 "소셜미디어 사용으로 인해 연예인과 관객들의 거리감이 줄어들고 사적인 정보도 많이 알 수 있게 되었다"라며 "그런 미디어 친밀성이 실질적인 친밀성으로 생각하는 상황이 나타나면서 '연예인 인권'의 문제도 더 심각해지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장 교수는 "에스파 멤버들이 받았을 충격과 이에 따른 사후 관리가 이번 사건에서 중요하게 다뤄져야 할 부분이다"라고 강조했다.

태그:#에스파, #경복고
댓글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