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은행들이 수익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선 인력 구조조정이 아니라 오히려 인력 투자에 힘을 써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23일 명동 YWCA 회관에서 열린 '국내 은행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수익 구조 개선 방안 세미나'에서 강경훈 동국대학교 교수는 "수익을 올리기 위해 구조조정이 능사가 아니고,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인력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강 교수는 "미국 은행에서는 고객과 창구 직원 모두 서서 업무를 본다"면서 "입·출금 업무는 빨리 해결하고 상품 설명이 필요한 부가가치 창출 업무는 편안한 곳에서 고객과 오래 대화를 한다"고 소개했다. 그는 "최근 우리 사회 화두인 노동 시장 유연성이 금융업에서도 필요하다"면서 "투자가 동시에 이뤄지는 선순환 구조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 발제를 맡은 김우진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국내 은행들은 수수료 수입 확대로 비이자 이익 비중을 넓히는 수익 구조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위원에 따르면, 국내 은행 자산 성장세는 1999~2014년간 7.8%에서 지난 2008~2014년 2.8%로 급격히 둔화했다. 국내 은행의 대고객 수수료가 전체 수수료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6년 12%에서 2014년 7.5%로 4.5%포인트 감소했다. 또한, 2012년 국내 은행은 ATM(현금자동화기기) 운영을 통해 약 844억 원의 손실을 보았다고 추정했다.

김 위원은 "비이자 이익 확대가 수익 안정성을 저해할 수도 있지만, 현재는 지나치게 비이자 이익이 낮기 때문에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영국 정부, 은행 수수료 문제 의식... 경쟁 유도 위해 '계좌 이동제' 도입"

그는 이를 위해 수수료 현실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금융 당국이 통제해왔던 ATM 인출 수수료, 송금 수수료 등 대고객 수수료에 대한 개입을 자제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위원은 "정책 당국은 수수료가 시장 경쟁 원리를 통해 합리적인 수준에서 결정되도록 유도할 필요는 있지만, 벌칙성 수수료, 위험 명목 수수료 등에 대한 개입에는 신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다만 영국 정부는 은행들의 수수료 결정 방식에 의문을 가지면서 건전한 경쟁을 유도하기 위해 계좌 이동제를 도입했다"면서 "국내 은행 또한 책임 있는 자세로 수수료 부과 방식의 합리성 제고에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이윤수 금융위원회 과장은 "우리나라 수수료가 낮다는 데는 공감한다"며 "그러나 정부가 수수료 부분에 직접 개입하지 않겠다는 뜻은 여러 차례 밝혀왔다"고 말했다.

이어 이윤수 과장은 "다만 최근 지적이 나왔던 대출 조기 상환 수수료 같은 것은 일률적인 부과 체계를 문제 삼았던 것"이라며 "대다수 은행이 올해 하반기나 늦어도 내년까지는 수수료 체계를 개선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태그:#은행 , #수수료, #비이자수익, #한국금융연구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