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내전이 벌어지고 있는 아프리카 남수단 지역에 파병된 '한빛부대' 장병 3명 중 2명에게는 방탄복도 지급되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한빛부대는 지난해 12월 주둔 지역에 정부군과 반군 사이에 교전이 격화되자 일본자위대에게 실탄 1만발을 빌려 물의를 빚기도 했다.

8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민주당 김광진 의원이 공개한 국방부 자료를 보면 한빛부대는 지난해 9월 국방부에 방탄복 200벌을 추가로 지급해줄 것을 요청했다. 지난 해 3월에 파병된 한빛부대는 공병부대를 중심으로 의무·수송·통신·경비 병력 등 총 282명으로 구성됐지만, 파병 당시 방탄복은 단 100벌만 지급됐던 것. 나머지 182명은 6개월 동안이나 방탄복도 없이 임무를 수행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추가로 지급된 방탄복마저도 총격에 취약한 구형 방탄복인 것으로 드러났다고 김 의원은 지적했다.

지난 2007년에 생산된 방탄복은 현지에서 주로 사용하는 AK 계열소총 7.62mm탄을 막을 수 없다는 것이다. 실제 감사원이 지난 2012년 7.62mm 탄을 쓰는 AK-47 소총을 사용해 방탄복 성능 검증을 한 결과 2008년에 제작된 방탄복이 완전히 관통됐다.

국방부도 "(기존의) 방탄복은 적의 소총에 관통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면서 방호력 개선 작업에 들어가 지난해부터 신형 방탄복을 보급하기 시작했다.

김 의원은 "방탄복이 부족했던 6개월 동안 사고가 없어서 다행이지 만약 장병들에게 사고라도 생겼으면 어쩔 뻔 했느냐"며 "국방부는 왜 뒤늦게 방탄복을 지급했는지 명확하게 설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군사평론가 김종대 <디펜스21 플러스>편집장도 "공병은 전시에 가장 위험한 임무를 수행하는 병과이기 때문에 자기 방호를 위한 조치가 가장 잘 되어 있어야 한다"면서 "한빛부대가 아무리 비전투 재건부대라고 해도 방탄복이 지급되지 않은 것은 납득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김 편집장은 또 "자위대 실탄에 이어 방탄복까지 논란이 된 것을 보면 현지 상황에 대한 정보 부족, 자체 방호태세의 부실, 미비한 사후수습 과정 등 '총체적 부실 파병'이었다"고 꼬집었다.

한편 국방부는 "한빛부대는 공병부대 중심으로 내전 조짐이 보이기 시작한 지난해 9월까지는 방탄복 지급 필요성이 크지 않았다"면서 "구형 방탄복도 방탄복과 방탄판을 동시 착용하면 7.62밀리 소총탄을 방호할 수 있다"고 해명했다.



태그:#한빛부대, #김광진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김도균 기자입니다. 어둠을 지키는 전선의 초병처럼, 저도 두 눈 부릅뜨고 권력을 감시하는 충실한 'Watchdog'이 되겠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