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매년 새해가 되면, 새해 결심으로 꼭 빠지지 않는 하나가 있다. 바로 '다이어트'다. 그런데 '다이어트 하기에 좋은 계절'은 더운 여름보다는 새해를 맞는 겨울이다. 겨울만 되면 살이 찐다고 하소연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사실은 그 반대이다. 여름에는 조금만 움직여도 땀을 많이 흘려 체중이 줄어드는 느낌이 들지만, 겨울에는 조금만 몸을 움직여도 운동효과가 크기 때문에 살을 빼기엔 훨씬 더 유리하다.

겨울은 추운 날씨 탓에 활동량이 줄어들고, 추위에 대비하기 위해 우리 몸이 스스로 체지방을 늘리는 계절이다. 하지만 겨울철 추위를 이겨내기 위해 움직임이 활발해져 다른 계절보다 기초대사량이 10%가량 높아진다. 즉, 똑같이 먹고 똑같이 운동을 해도 살이 더 빠진다는 말이다. 따라서 추운 겨울 동안 식이요법과 운동을 적절히 병행한다면 보다 수월하게 다이어트 효과를 볼 수 있겠다.

또한 겨울철 적당한 추위에 노출되면 체지방이 연소된다. 날씨가 추워져 기온이 낮아지면 체온도 함께 낮아지는데, 우리 몸은 스스로 일정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꾸준하게 열 생산을 하려 한다. 이때 체지방을 연소시켜 열을 발생하기 때문에 추위에 자주 노출될수록 비만을 야기시키는 체지방을 소비해 살이 빠지게 되는 것이다.

대신 근육량은 1kg가량 증가돼 체중에 큰 변화가 없어도 결과적으로 건강에는 이롭게 된다. 따라서 겨울은 생활습관을 어떻게 갖느냐에 따라 살이 찌는 계절이 될 수 있는 반면, 적절하게 추위를 활용하고 몸을 움직여준다면 도리어 살을 뺄 수 있는 최적의 계절일 수도 있는 것이다.

춥다고 너무 따뜻하게 껴입는 것도 좋지 않다. 오히려 꽁꽁 옷을 싸매면 신체의 움직임은 둔해지고, 추위에 경직된 몸은 뻐근하기까지 하다. 약간 서늘한 상태를 유지하면 교감신경까지 활성화돼 집중력까지 높아진다. 따라서 적당한 추위를 즐기면 다이어트 효과와 더불어 건강한 몸, 더불어 일의 능률까지 거두는 일석삼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된다.

2014년 갑오년(甲午年) 말띠해가 밝았다. 2014년은 말띠 중에서도 60년마다 돌아오는 '청마(靑馬)의 해'로 행운을 상징한다고 알려져 있다. 말은 열대 사막에서부터 극지방에서까지 살고 활동하는데, 이것은 말이 날씨라는 외부환경에 적응능력이 굉장히 뛰어남을 알려준다. 특히 더위에 보란 듯이 적응한 동물로는 '얼룩말'을 꼽을 수 있다. 흰색과 검은색이 교차하는 얼룩말의 얼룩은 일반적으로 흰색무늬보다 검은색 무늬가 태양열을 더 잘 흡수한다.

한 연구에 따르면, 얼룩말의 몸 전체 얼룩무늬 중 검은 부분과 흰 부분의 표면 온도는 각각 37℃, 31℃로 6℃나 차이가 난다. 이렇게 온도 차이가 나면 공기의 흐름이 생기기 때문에 바람이 생성된다. 놀랍게도 얼룩말의 표면에서도 이 원리가 적용돼 얼룩말은 스스로 바람을 일으키면서 열대기후에 적응하고 있는 것이다.

기상청이 발표한 2014년 기후전망에 따르면 올해 우리나라 연 평균기온은 평년보다 높거나 비슷하겠고, 연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 아무쪼록 올 한해도 '청마(靑馬)'의 힘찬 기운을 이어받아 '맑음'의 한 해가 되길 빌어본다.

날씨칼럼니스트 weathercomz@naver.com

덧붙이는 글 | 맹소영씨(weathercomz@naver.com)는 날씨칼럼니스트로 온케이웨더(www.onkweather.com)에 날씨 관련 칼럼을 정기 기고하고 있습니다.



태그:#말의해, #날씨, #말, #기후변화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국내최초 날씨전문 매체 <온케이웨더>: 기상뉴스,기후변화,녹색성장,환경·에너지,재난·재해,날씨경영 관련 뉴스·정보를 제공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