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 2월 서울 여의도 MBC사옥에서 김재철 사장이 확대간부회의를 주재한 뒤 이진숙 홍보국장과 함께 사장실로 이동하고 있다. <자료사진>
 지난 2월 서울 여의도 MBC사옥에서 김재철 사장이 확대간부회의를 주재한 뒤 이진숙 홍보국장과 함께 사장실로 이동하고 있다. <자료사진>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잇단 비리 의혹으로 퇴진 압력을 받고 있는 김재철 MBC 사장이 MBC의 민영화를 검토하라고 지시해 논란이  일고 있다.

MBC는 18일 오전 사내 특보를 통해 "(김 사장이) 노조는 또 다시 파업을 위협하고 있지만 사원들은 이에 동요하지 말고 일 중심으로 나아가자고 독려했다"며 "김 사장은 회사는 문화방송을 위한 논의만 하면 된다며 그 일환으로 민영화도 연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밝혔다.

김재철 사장의 민영화 발언과 관련해 MBC 관계자는 <오마이뉴스>와 한 전화통화에서 "MBC가 정치적인 환경에 휘둘리는 게 회사와 구성원을 위해서 바람직하지 않고 글로벌 미디어 그룹으로 성장하기 위해서 (MBC의) 소유 구조도 연구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나온 것"이라며 "직접적인 배경이 있어서 나온 발언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미 김재철 사장은 지난 7월 30일자 <동아일보> 인터뷰에서 MBC의 지배구조와 관련해 "(MBC는) 1987년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태어난 독특한 회사"라면서 "민영화도 검토 대상"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덧붙여 김 사장은 "(민영화는) 사원들 생각과 방문진의 의견, 국민적 합의를 통해 선택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MBC 노조 "낙하산 사장이 '정치적 독립' 운운?... 자격 없다"

이미 지난 8월 MBC는 전략기획부를 통해 민영화를 포함한 'MBC 거버넌스 개편'을 연구하고 있으며 방송사의 소유구조 사례를 수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MBC는 주식의 70%를 공익재단인 '방송문화진흥회'(방문진)가 보유하고 있다. 방문진은 사장 선임을 비롯해 간접적으로 경영에 참여하고 있다. MBC의 방송 제작비용은 시청료가 아닌 광고료에서 나와 상업방송으로 볼 수 있지만, 경영은 정부에서 하는 '공영방송'으로 분류된다. 방문진 주식 이외의 주식지분 30%는 정수장학회가 보유하고 있다.

사실 MBC의 민영화 논의는 MBC 최대 주주인 방문진에서 나와야 할 사안이다. 방문진은 1987년 민주화운동 이후 여야 합의로 탄생한 배경을 갖고 있다. 때문에 MBC 소유 구조의 개편을 논의하는 것은 정치권과 국민적 합의가 전제돼야 가능한 일이다.

이같은 김재철 사장의 MBC 민영화 검토 지시는 그동안 정치권과 시민사회로부터 받아온 퇴진 압력을 무마하기 위한 카드라는 해석이 나온다.

이에 대해 이용마 전국언론노동조합 MBC본부 홍보국장은 <오마이뉴스>와 한 전화통화에서 "(김재철 사장이) 정치적 독립을 위한 민영화를 주장하지만 본인 스스로가 낙하산 인사이기 때문에 (이를 주장할) 자격이 없다"며 "(임명된 이후) 김 사장은 정권 편향적인 방송을 밀어붙이다 방송사상 최장기간 파업을 일으킨 사람"이라고 비난했다. 또 이 국장은 "(김 사장이) 개인 비리 의혹으로 퇴진 압력이 나오니까 MBC 민영화로 이를 덮어보려고 꼼수를 부린 것"이라고 말했다.

MBC의 민영화와 관련해 이 국장은 "MBC는 1987년 민주화운동 이후 여야 합의로 공영방송이 됐다"며 "하루아침에 공영에서 민영으로 만든다는 것은 또 다른 국민적 합의가 필요한 사안이다.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태그:#김재철 사장, #MBC, #MBC 민영화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