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31일 향일암 일출제 행사때 전라좌수영 연사랑회가 도안한 여니(파랑)와 수니(빨강)가 밤하늘을 날아 올라 하늘길을 수놓고 있다.
 31일 향일암 일출제 행사때 전라좌수영 연사랑회가 도안한 여니(파랑)와 수니(빨강)가 밤하늘을 날아 올라 하늘길을 수놓고 있다.
ⓒ 최호원

관련사진보기


겨울방학이다. 지금이야 아니지만 어릴적 겨울철이면 연(鳶) 만들기는 가장 빠질 수 없는
놀이였다.

각박한 시대에 살고 있는 요즘 아이들이야 방학은 학원공부의 연속이지만 그 시절은 학교로부터 해방되는 유일한 탈출구였다. 특히 겨울방학 때 대나무를 깎아 밥풀로 만든 연은 동심(童心)속에 젖어있던 아이들의 꿈을 연을 통해 하늘로 올려 보냈던 추억은 아련하다.

지난해 말 밤 10시 향일암 일출 행사장을 찾은 수많은 인파들의 눈은 온통 하늘로 쏠렸다. 212개의 야광 나래연이 하늘을 수놓아 장관을 이룬 것. 대장연을 앞세운 3m간격의 212개 나래연이 636m높이로 떠올라 하늘 길을 열었다.

우리나라의 최초의 연날리기는 어디에서 비롯 되었을까?
삼국사기 열전(列傳)이라는 문헌에는 "신라시대의 김유신 장군이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 연을 사용한 것에서 비롯되었다"고 전한다.

▲ 향일암 일출제 소원성취 연날리기 행사
ⓒ 심명남

관련영상보기


특히 지난해 시청률 1위를 기록하며 종영된 MBC 월화드라마 <선덕여왕>에도 연이 등장해 재미를 더했다.

신하 비담과 염종이 여왕이 나라를 다스릴 수 없다는 구실로 내란을 일으켜 여왕을 폐위시키려 하자 선덕여왕이 이끄는 군사들과 반란군은 명활성(明活城)전투에서 10여일 동안 싸웠으나 승부가 나지 않는다. 그러던 어느날 밤, 하늘에서 큰 별똥이 떨어지자 이것은 바로 왕군(王軍)이 패망할 징조라 여겨 왕군은 물론 군사들이 크게 동요한다. 이때 왕군의 지휘관이었던 김유신 장군은 군사를 진정시키고 민심을 수습하고자 우인(遇人:허수아비 인형)을 만들어 그것을 큰 연에 매달아 불을 질러 하늘로 올려 보낸다. 마치 별이 하늘로 솟아 오르는 것 같이 보이게 하기 위한 위장술. 그후 "어젯밤에 떨어졌던 별이 다시 하늘로 올라갔다"라고 소문을 내어 병사들의 사기를 북돋아 반란군을 진압한 번뜩이는 재치는 보는 이들을 후련하게 한다.

연사랑에서 만든 하늘높이 날아오른 방패연이 하늘길을 열고 있다.
 연사랑에서 만든 하늘높이 날아오른 방패연이 하늘길을 열고 있다.
ⓒ 심명남

관련사진보기


특히 임진왜란 때 삼도수군 통제사 충무공이 전략상 사용한 신호연은 무늬와 색상에 따라 각기 고유명칭과 신호법이 달랐다. 연을 통해 멀리서도 배의 좌.우 방향전환과 공격과 후퇴명령을 내렸던 전술연의 흔적은 많이 알려지지 않고 있다.

이렇듯 연을 통해 엑스포 홍보에 열을 올리는 이들이 있다. 전라좌수영 연사랑회(회장 최호원)가 바로 그들. 이들은 최근 여니와 수니 연을 구상해 여수를 상징하는 2012년 여수엑스포를 홍보하는 한편 독거노인들 일자리 창출을 통해 삶의 활력도 찾아 주고 있다.

전라좌수영 연사랑회 회원들이 행사준비를 위해 연을 만든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좌측 첫번째가 최호원 회장이다.
 전라좌수영 연사랑회 회원들이 행사준비를 위해 연을 만든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좌측 첫번째가 최호원 회장이다.
ⓒ 최호원

관련사진보기


향일암 일출제 행사때 가진 연날리기는 원인 모를 화재로 대웅전등 절의 일부가 화마로 잿더미가 된 아픈 상처를 안고 있던 시민들에게 위안이 되었다. 이날 행사에서 연을 띄워 한 해의 모든 액운을 날려버리고 하늘길이 트인다는 연줄을 잡고 많은 사람들이 소원성취를 빌었다.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칠흑 같은 겨울 밤 야광연을 구상해 볼거리를 제공한 것은 국내 최초의 시도이다.

이들은 원래 여수 엑스포를 상징하는 2012개의 연을 띄우려 했으나 길이가 6000m가 넘는 관계로 이를 압축해 212개의 야광연을 만들어 띄웠다. 기네스북에 오른 연의 개수는 600개이지만 낮에도 대장연을 확인하기 힘들다. 첫번째 대장연을 볼 수 있게 대형 서치라이트를 비쳐 밤에도 식별이 가능하게 만들었다. 레이저 불빛에 비친 하늘길을 만든 나래연은 2012여수세계박람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자는 소원도 담았다. 또한 손수 만든 500여개의 소원연과 얼레를 새해를 맞아 나눠주니 30분만에 동이 나는 등 시민들에게 좋은 호응을 얻었다.

성원성취를 담고 있는 500여개의 소원연을 만든 연사랑회가 시민들에게 연을 무료로 나눠주고 있다.
 성원성취를 담고 있는 500여개의 소원연을 만든 연사랑회가 시민들에게 연을 무료로 나눠주고 있다.
ⓒ 최호원

관련사진보기


최호원 회장(여천NCC 근무)은 "연사랑회는 전라좌수영의 본영이 있는 호국의 도시 여수에서 이순신 장군이 전술전략으로 썼던 전술연들의 뿌리를 찾고, 연을 통해 여수엑스포를 홍보하기 위해 만들어진 단체다"며 "기업봉사단의 후원으로 지역 어르신들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어릴적 옛 향수를 되살려 사라져 가는 우리 고유의 민속놀이를 이어 가고자 하는 취지다"고 전했다.

최 회장은 "올 3월말 여수시 교동 이순신 광장 오픈식에서 60개의 대형 전술연을 선보일 예정이다"고 말해 기대감를 갖게 했다.

연사랑회 회원들이 만든 이색적인 5광 방패연들의 모습
 연사랑회 회원들이 만든 이색적인 5광 방패연들의 모습
ⓒ 최호원

관련사진보기


또한 오삼섭(76세 평생학습교육단장) 회원은 "연날리기 행사를 통해 여수엑스포가 이색적인 홍보로 좋은 평을 받고 있다"며 "평생학습을 통해 우리 전통 민속놀이의 맥을 이어가도록 연사랑 코너를 마련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40여명의 회원으로 구성된 연사랑회 회원들은  ▲1월 새해맞이 연날리기 ▲2월 정원대보름 연날리기 ▲3월 이순신장군 광장 전술연 시연 ▲5월 거북선 축제 연날리기 ▲9월 평생학교 연사랑 동아리 등의 행사를 계획하고 있다.

연사랑회 정문수 회원과 자원봉사자가 연을 띄우며 포즈를 취하고 있다.
 연사랑회 정문수 회원과 자원봉사자가 연을 띄우며 포즈를 취하고 있다.
ⓒ 최호원

관련사진보기


한편 정문수 회원으로 부터 시작된 연날리기 행사는 여천NCC봉사단과 NCC2팀 봉사단이 주관해 후원하고 있다. 이들은 행사 때마다 여수시의 도움이 지금보다 더 절실하다고 전한다. 여천NCC2팀 봉사단은 무선고인돌 공원에서 매년 5년째 정월대보름 연날리기 행사를 통해 아이들에게 무료로 연을 만들어 주며 아이들에게 좋은 호응을 받고 있다.


태그:#연날리기, #나래연 , #연사랑회, #소원성취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네가 하고 싶은 일을 남에게 말해도 좋다. 단 그것을 행동으로 보여라!" 어릴적 몰래 본 형님의 일기장, 늘 그맘 변치않고 살렵니다. <3월 뉴스게릴라상> <아버지 우수상> <2012 총선.대선 특별취재팀> <찜!e시민기자> <2월 22일상> <세월호 보도 - 6.4지방선거 보도 특별상> 거북선 보도 <특종상> 명예의 전당 으뜸상 ☞「납북어부의 아들」저자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