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영화 <람보>는 월남전에서 제대한 그린베레 출신의 존 람보가 동료 전우를 찾아 록키 산맥의 어느 마을에 도착하면서 시작된다.

 

하지만 전우는 암으로 세상을 떠난 뒤였고, 대신 그를 맞이한 것은 부랑자 행색을 한 그를 탐탁치 않게 여긴 마을 보안관들이었다. 보안관들은 람보를 마을에서 내쫓으려 했지만, 순순히 응하지 않자 억지 죄목으로 체포하는데 조사 과정에서 그는 월맹군 포로 수용소에서 겪은 고문의 기억이 악몽처럼 되살아나 경찰서를 때려 부수고 숲으로 도망친다. 

 

경찰의 추적을 따돌리고 숲으로 도망친 람보는 월남전에서 몸에 익힌 게릴라 전술로 경찰과 대치하며 싸우게 된다. 그 싸움은 점점 커져 걷잡을 수 없게 된다.

 

끝이 보이지 않는 참혹한 전쟁을 경험하고 '생지옥'에서 살아돌아온 람보. 그의 순탄치 않은 고국생활부터 시작한, '미국식 영웅주의'라는 비판을 받는 영화는 단순히 치고받는 액션만을 보여주지 않는다.

 

월남전에 참전했던 수많은 군인들의 정신적 고뇌와 고통, 내면심리를 그리고 국가에 의해 철저히 이용되고 버려진 한 인간의 처절한 삶을 진솔하게 담아낸다.

 

 

제2, 제3의 람보를 양산하는 미군과 아프간전쟁

 

왜 갑자기 람보를 떠올렸냐 하면, 지난 11일 이라크 바그다드공항 인근의 미군기지에서 2003년 이라크전 발발 이후 미군간 공격 사건 중 최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러셀 병장의 총기난사로 미군 5명이 숨졌다.

 

언론보도에 따르면 2003년과 2005년 각각 1년여간 이라크에 복무하며 격렬한 전투를 겪었고 이번이 세번째 이라크 복무로 3주 안에 이라크를 떠날 예정이었다는, 러셀 병장은 극심한 스트레스(심리적-정신적 불안정) 상태에서 동료 미군들에게 총을 쏘았다. 그는 이라크 참전 전에도 세르비아, 보스니아 등 많은 전투현장을 경험했다 한다.

 

관련해 USA투데이는 지난 13일 2001년 9.11테러 공격 이후 15만명 이상의 미군이 이라크와 아프간 및 인근 지역에 최소한 한 차례 참전했다면서 이중 4만6천여명은 3-4차례 참전했다고 보도했다. 또한 2007년 육군의 조사에 따르면, 3-4차례 이라크-아프간전에 참전한 하사관 중 27%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세나 우울증 및 분노증세를 보였는데 이는 육군 전체 평균인 20%보다 엄청 높은 수치라고 한다.

 

상황이 이런데도 부시와 다를 바 없는 버락 오바마와 미정부는 아프가니스탄에서의 민간인 학살과 전쟁을 멈추지 않고 있다. 그리고 버락 오바마는 대테러전 와중에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 미군기지 내 수용소 수감자들에게 자행된 학대 사진들을 반미감정과 국가안보란 핑계를 대며 공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추악한 전쟁과 '제2.3의 람보'를 양산하고 있는 것이다.

 

전 세계 병역거부자와 평화활동가들이 한국을 주시한다!

 

영화 <람보>를 떠올린 또 다른 이유는, 바로 오늘(15일)이 세계병역거부자의 날이기 때문이다. 연초 진보네트워크센터에서 보내준 달력에나 나와 있는 날이다.

 

1981년부터 이어져온 세계병역거부자의 날은 전 세계 병역거부자들이 단일한 액션을 취하는 날로 정착되었다 한다. 특히 국제평화단체인 '전쟁저항자인터내셔널(WRI-War Resisters' Interntional)'은 매년 초점 국가를 선정해 해당 국가의 병역거부 문제를 국제적으로 환기시키고 있다 한다.

 

그런데 올해 세계병역거부자의 초점 국가는 미국의 아프간전쟁 학살지원을 자처하는 한국이라 한다. 특히 2007년 노무현 정부의 대체 복무제 도입 약속을, 지난해 이명박 정부가 집권한 이후 대체 복무제 도입이 사실상 백지화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10일부터 16일까지 해외의 병역거부자와 평화활동가들은 한국에 모여 국제회의와 비폭력 트레이닝을 통한 세계병역거부운동과 한국의 실태를 논의할 예정이다. 오늘 인사동 북인사마당에서는 상징적이고 창조적인 평화적 비폭력캠페인도 벌이고 16일 내일은 국제컨퍼런스와 평화콘서트도 이어진다.

 

* 2009 세계병역거부자의 날, 한국 http://corights.net/2009coday/


한국의 병역거부운동

한국의 병역거부운동은 2009년 현재 연대회의를 중심으로 9년 동안 활발한 활동을 펼쳐오고 있고 2003년부터는 이러한 국제공동행사에 함께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병역거부 문제는1만3000여 명에 달하는 수감자를 낳은 매우 심각한 인권문제입니다.

 

이에 2005년 국가인권위원회는 국가기관 최초로 병역거부권의 인정을 국방부장관 등에 권고했고, 2004년 대법원과 헌법재판소도 대체복무의 문제는 입법의 차원에서 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출한 바 있습니다.

 

국제사회의 권고도 이어졌는데 2008년 유엔인권이사회는 보편적정례검토(UPR)에서 한국정부에 병역거부권을 인정할 것을 강력히 권고한 바 있고 2006년엔 병역거부자 2명의 개인통보를 받아들여 대체복무제의 도입과 병역거부자들의 인권개선을 촉구한 바 있습니다. 앰네스티인터내셔널, 전쟁저항자인터내셔널 등 국제NGO들의 한국병역거부운동에 대한 지원과 한국정부에 대한 비판 또한 꾸준히 제기되었습니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U포터뉴스와 블로거뉴스에도 송고합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세계병역거부자의날, #람보, #병역거부, #아프간전쟁, #미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