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한나라당 미디어발전특위 위원장인 정병국 의원이 28일 최근 일부 여론조사에서 정부 여당이 추진 중인 신·방 겸영에 대한 반대 여론이 높게 나타난 것에 대해 "국민들의 이해의 폭이 좁기 때문"이라며 국민들 이해 부족을 그 원인으로 돌리는 발언을 했다.

 

지난 24일 SBS의  여론조사 결과 보도에 따르면 신문과 대기업의 지상파 방송진출을 허용한 한나라당 방송법 개정안에 대해 우리 국민 70% 가까이가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95% 신뢰수준, 오차한계 ± 3.1%)

 

이날  평화방송 시사 프로에 출연한 정 의원은 "그 같은 여론은 당연하다"면서 "왜 그러느냐하면 일반적으로 국민들이 지상파 중심의 시대에 만들어진 법 구조에 익숙해져 있어 아직까지 방통 융합이라고 하는 미디어 환경 변화에 대해 실감하지 못한 것"이라며 국민들이 방송 환경 변화에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지금 시점에서 여론 조사를 하게 되면 지상파에 신문, 또 대기업이 참여를 하는 부분에서는 부정적인 의견이 나올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면서 "왜냐면 새롭게 변화되는 환경에 따라서 우리가 법을 선도적으로 만들어가고 있기 때문에 그 이해의 폭이 적은 것"이라고 한나라당이 국민을 선도하는 법안을 만들고 있음을 강조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정 의원은 "이제 서서히 IPTV가 지난 1월 달부터 일반화되면서 많은 분들이 인식을 하기 시작했고 이번에도 설에 내려가서 지역 주민들과 간담회를 하면서, 초반까지만 해도 잘 이해를 못했는데 많은 토론도 보고 언론 보도도 보면서 서서히 이것이 왜 필요한가를 인식하기 시작했다는 분들이 많았다"고 주장했다.

 

이날 정 의원은 "IPTV의 출현 등으로 미디어환경이 이미 무한경쟁 시대에 돌입했다"면서 이에 적응하기 위해 "공영방송의 강력한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미디어 관련법 개정 여부와는 상관없이 자체적인 구조조정을 하지 않고서는 환경 변화에 적응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영국의 BBC방송이나 일본의 NHK와 같은 방송사들도 이러한 환경의 변화를 예측해서 지난 2005년도부터 아주 강한 구조조정을 해 BBC는 지난 2005년부터 1만2천명이나 감원을 했다"고 해외 사례를 소개했다.

 

정병국 의원은 중간광고 시행과 관련해서는 "방송의 디지털 전환 비용을 방송사에만 부과할 수는 없다"면서 "디지털 전환이 계획대로 진행될 경우, 중간 광고를 허용하는 쪽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정병국 의원은 최문순 민주당 의원을 겨냥해 "국회의원이 되더니 MBC 사장 시절과 다른 얘기를 하고 있다"며 "무책임하고 부도덕하다"고 강도높게 비난해 또 다른 논란을 예고했다.

 

"그거는(최문순 의원의 MBC 사장 시절 발언은) 참 무책임한 얘기라고 생각한다. 신문에 그 당시 그런 보도가 났으면 바로 정정요청이 있거나 그랬어야지. 그리고  최문순 의원은 그 부분뿐만이 아니라 코바코 관련해서도 민영 미디어렙 해달라고 몇 차례 공문까지 냈던 분이다. 그런데 국회의원이 되고 나서 그 정치적, 어떤 정당의 논리에 따라서 입장을 바꾸고 있다. 이건 참 부도덕 한 것."

 

<중앙일보>와 <경향신문> 등은, 최문순 MBC 사장 내정자가 취임 즈음한 언론 인터뷰에서 "뉴미디어시대의 생존을 위해 이제 신문·방송의 겸영 금지를 풀고 언론사들이 주체적으로 영역을 선택하게 해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 방송·통신 구조 개편위가 빨리 출범해야 한다, 매체 진화과정을 볼 때 영역 구분은 설득력이 없고 무한경쟁 시대에도 맞지 않다"고 한 발언을 보도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당사자인 최문순 의원은 "당시 보도는 정식 인터뷰가 아닌 취임 간담회 관련 내용이었다"고 주장하며 "그런 말 한 적 없다, 매체간 겸영은 그 쪽(언론사)이 쓴 것이다, 자기들 마음대로 해석한 것"이라고 해명하고 있다.

덧붙이는 글 | 오동선 기자는 평화방송 프로듀서입니다.


태그:#정병국 , #최문순 , #공영방송법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