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추억의 견지 낚시와 어항을 이용하여 맑은 물속에 살고 있는 피라미를 잡기도 하며 수심이 얕은 곳에서는 수영도 할 수 있다.
ⓒ 임영은

생거진천의 명소로 자리 매김한 충청북도 지방유형문화재 28호인 진천농다리의 역사성과 우수성이 전국적으로 널리 알려지자 이를 찾는 체험 관광객들의 끊임없는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 굴티마을 앞을 흐르고 있는 세금천(洗錦川) 변에 축조된 이 돌다리는 매우 특이한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30Cm~40cm의 자연석을 이용 물고기 비늘처럼 교각을 쌓아올렸다. 그 위에 길이 170cm~130cm, 너비 80cm, 두께 20cm의 장대석 1개 혹은 두 개를 나란히 얹어 만들어 졌다.

총길이는 약 100여미터에 이르며 폭이 3.6m, 교각의 두께가 1.2m이며, 교각과 교각의 사이는 0.8m로 자연석을 그대로 쌓았는 데도 장마에 유실되지 않고 1000여년 동안 유지되어 온 것을 보면 그 축조기술이 매우 뛰어남을 알 수 있다. 현재 토목공학적으로도 밝힐 수 없는 특이한 석교(石橋)로 학계에서는 역사적 보존 가치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전하고 있다.

이 농다리는 언뜻 보아 거대한 지네가 몸을 슬쩍 퉁기며 물을 건너는 듯한 형상을 하고 있다 하여 지네농(籠), 또는 자연석을 얽기 설기 얽었다 하여 얽을 농(籠), 큰 그릇 처럼 물을 담고 있다하여 대그릇 농(籠), 밟으면 움직이고 잡아당기면 돌아가는 돌이 있다 하여 농다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한다.

주변 경관이 매우 아름다워 상산팔경(常山八景) 중 제1경으로 손꼽히고 있으며 천년의 세월을 간직한 다리를 밟으며 건너다 보면 옛 선인들의 지혜로움을 체험할 수 있다.

ⓒ 임영은

천년정(千年丁)에 올라 내려다 보는 순간, 온갖 시름을 씻어버릴 수 있는 세금천(洗錦川) 전경을 한눈에 볼 수 있다. 벗나무 숲길로 이어진 산책로를 거닐다 보면 한폭의 그림 같은 드넓은 초평호를 접하게 되며, 이곳에는 시원한 바람을 맞으며 쉴 수 있는 수변테크가 자리잡고 있다.

가는 곳 마다 수많은 사연과 전설을 간직하고 있는 농다리는 6·25동란전 몇 날 며칠을 능구렁이 같은 울음소리로 재앙을 예고 하기도 하였다 하며, 장마에 농다리 상판이 뜨면 나라에 큰 재앙이 일어나고 훌륭한 인물이 죽거나 기상 이변이 일어난다고 전해지기도 한다. 구전으로 내려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고종 31년 동학혁명, 1979년 박정희 대통령의 서거를 예고 하기도 했다고 한다.

또한 이 다리는 신비의 다리로 아낙네들이 다리를 건너게 되면 아들을 낳게 되고 노인이 다리를 건너면 무병장수 한다는 매우 흥미로운 이야기도 전해져 내려온다. 농다리와 쌍바위, 피서대의 전설 또한 사연이 깊은 이야기로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충청북도와 진천군에서는 농다리 관광 명소화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현제 25간에서 본래의 모습인 28간으로 원형복원 한다고 한다.

굴티마을 앞에는 100여평의 농다리 전시관이 8월 초 개관을 앞두고 마무리 공사가 진행 중에 있다. 전시관 내에는 농다리 홍보 영상과 아름다운 농다리4계, 한국의 옛다리와 세계의 유명한다리, 농다리의 전설과 설화, 농다리의 역사록과 상산팔경, 농다리 축조 방법과 체험장, 생거진천 홍보관 및 전시실 등이 다양하게 꾸며져 있어 개관후 이곳을 찾는 학생들에게 더욱 의미있는 과학체험 학습장으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8월 24일부터 26일까지는 열리는 농다리축제는 우리 조상들의 뛰어난 축조기술과 소중한 우리의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널리 홍보하고자 "달빛어린 추억 천년의 사랑 진천농다리"란 주제로 공식행사, 전통행사, 공연·경연행사, 체험행사, 부대행사 등이 다채롭게 펼쳐진다. 농다리가요제, 전국사진공모전, 장사씨름대회가 푸짐한 상금과 상품이 걸려있어 전국에서 농다리를 찾을 것으로 보인다.

ⓒ 임영은

농다리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보면 고려초 임장군에 의해 축조되었다는 옛 문헌(상산지-常山誌, 조선 여승람-朝鮮 輿勝覽)으로 보아 이곳 출신으로 약 천여년전 신라말 태조 왕건을 도와 삼한 통일에 공헌을 한 "병부령", "흥화부원군"을 지내신 상산백 충숙공 임희장군(常山伯 忠肅公 林曦)이 축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인근 굴티마을은 1300여년 동안 상산 임씨 토성들이 집성촌을 이루며 살고 있으며 농다리 건너 미호천변 농경지 경작을 위해 다리를 보수하며 건너 다녔다. 지금은 미호천 개발로 인해 수몰되어 낚시꾼과 관광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으며 드라마와 영화 촬영지로 널리 알려져 있다.

실제로 이곳에서는 <장희빈>, <사랑이 꽃피는 나무>, <종이학>, <모래시계>, <노란 손수건>, <가을에 만남 남자>, < YMCA야구단> 등이 촬영 되었으며 현재는 KBS 농촌인기드라마 <대추나무 사랑걸렸네>를 촬영하고 있다. 또한 전국 사진작가들로 하여금 호감을 받고 있는 소중한 문화유산이기도 하다.

한편 천여년 동안 온갖 풍상을 견뎌온 진천농다리는 지난해 건설교통부에서 선정한 "한국의 아름다운길 100선" 중 17번째로 선정되는 영광을 차지하였으며 행정자치부와 국가 균형발전위원회 공동주최로 실시한 "제1회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지역자원 경연대회서 전국의 우수한 지역자원 100선으로 선정되는 영광을 차지했다.

참고로 http://cafe.daum.net/nongdari25 (농다리지킴이회)를 방문하면 많은 이미지를 볼 수 있다.

덧붙이는 글 | - 이 기사는 진천군 노인회 노인신문에도 7월 2일 송고 하였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 임영은 기자는 충북 진천에있는 지방유형문화재 제28호인 농다리지킴이로 활동하고 있으며 생거진천 농다리축제 계획 연출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태그:#충북진천문백 굴티마을, #진천농다리, #2007생거진천농다리 축제, #진천군, #생거진천의명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