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6월 28일은 철도의 날로 1894년 6월 28일 의정부 철도국이 설립되고 경인선이 개통된 날을 기려 정한 날이니 올해는 대한민국 철도 설립 130주년이 되는 해이다. 더욱이 고속철도 도입 20주년인 해이기도 하다. 국토교통부는 이런 뜻깊은 해를 맞이하여 어려운 철도 전문용어를 쉬운 우리말로 표준화하여 적극 홍보하고 있다.

필자가 1980년 무렵 철도공무원으로 일할 당시 '입환'이 담당 업무였는데 '입환(入換)'은 '차량 정리'로 순화되었다. 그때는 별 생각없이 관습적으로 썼던 용어들인데 순화한 용어들을 보니 그때 쉬운 말로 배웠다면 일의 효율성이 훨씬 높았을 거란 생각이 든다. 차량과 차량을 연결하고 분리하는 차량 정리(입환)는 수동으로 할 경우 무척 위험한 작업이므로 안전용어이기도 하다. 필자의 철도고 동창이기도 한 아름다운 철도원 김행균씨가 2003년 아이를 구하다 다친 것도 차량 정리 작업 중에 일어난 사고였다. 다행히 국토부는 2023년부터 무선제어차량정리(입환)를 도입하기 시작하여 주요 화물역의 차량정리 작업 자동화를 추진하고 있다.
 
차량과 차량을 연결하고 분리하는 차량 정리(입환) 중인 장면 @국토교통부(한국철도공사)
▲ 차량과 차량을 연결하고 분리하는 차량 정리(입환) 중인 장면 차량과 차량을 연결하고 분리하는 차량 정리(입환) 중인 장면 @국토교통부(한국철도공사)
ⓒ 국토교통부(한국철도공사)

관련사진보기

 
국토교통부는 2018년부터 지금까지 철도 분야의 '입환'처럼 어려운 124개 전문용어를 표준화하면서 쉽고 바른 우리말로 순화하였다. 어려운 전문용어, 불필요한 외래어, 일본식 한자표현 등을 쉽고 바른 우리말로 순화하는 국어책임관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박은주 사무관(국토교통부 대변인실)은 기자와의 전화 통화에서 최근 6년간 국토교통부 철도 관련 보도자료 중 대국민 노출 빈도가 높은 철도용어를 중심으로 순화어를 선정하였다고 한다.

일반 국민들이 철도를 이용하면서 만나게 되는 철도 용어들이 안내방송, 표지만, 철도 역사 안팎에서 조금씩 달라지고 있다. 특히, 이 가운데 '철도 용어 20선'을 뽑아 카드 뉴스 형식으로도 제작하여 집중 홍보하고 있다. (순화어 목록은 국토교통부 누리집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열차시격’의 순화어 ‘배차 간격’을 홍보하는 카드 뉴스
  ‘열차시격’의 순화어 ‘배차 간격’을 홍보하는 카드 뉴스
ⓒ 국토교통부

관련사진보기

 
이 가운데는 일반인들과 관련된 '개찰→표 확인, 핸드레일→안전손잡이, 종착역→마지막역, 촉지도→점자안내도, 첨두시간→혼잡 시간' 등의 용어들도 포함되어 있다. 이밖에 "발차"를 "출발"로 "신호모진"을 "신호 위반"으로 "승계운전"을 "교대 운전", '중련→다중 연결, 퇴행운전→후진 운전, 타행운전→무동력 운전, 텅레일→방향 전환 레일' 등으로 순화했다.

이번 순화어의 또 다른 몇 가지 특징을 살펴보면, 일반인들이 쓰는 쉬운 용어가 어려운 전문용어를 대체한 경우도 있다. 이를테면 '시발역→출발역, 연결열차→환승열차'와 같이 '출발역, 환승열차' 등은 일반인들이 흔히 쓰는 용어였다. 또한 최근에 많이 쓰이는 영어 약자식 용어도 '시비티시(CBTC/communication based train control)→무선통신열차제어, 아이시디(ICD/inland container depot), ICD(inland clearance depot)→내륙컨테이너기지' 등으로 순화했다. 같은 한자어기는 하지만 '애로구간(隘路區間)→ 병목구간, 양로(楊路)→궤도높이기' 등과 같이 일본식 한자어나 한자를 알아도 풀기 어려운 용어를 쉬운 한자어나 한자어와 순우리말 혼용어로 표준화했다.

순화어 자문에 참여한 한글학회(김주원 회장) 김한빛나리 사무국장은 28일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비록 전문용어라 하지만 어떻게 '중련, 촉지도, 텅레일' 등 상식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는 어려운 용어들을 100년 이상 써올 수 있느냐?"라고 반문하며 이제라도 바뀌게 되어 매우 기쁘다고 말했다.

물론 순화어 가운데는 일반인 시각으로는 여전히 어려운 것도 있다. 일반인들이 기차를 탈 때마다 볼 수 있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철도 차량 위에 설치하여 전선(전차선)과 연결하여 전기를 공급받는 장치'는 '팬터그래프(Pantograph)'라 불렀는데, '차량 집전 장치'라고 순화하였다. 순화어가 팬터그래프보다는 쉽지만 '집전'이라는 말이 어려워 차라리 '차량 전기공급 장치'라고 하면 용어가 길어지는 단점은 있지만 더 쉽게 느껴진다.

박영석 국토부 철도안전정책과 사무관은 필자와의 이메일에서 지금까지의 성과와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130주년 철도의 날(6.28) 기념 KBS 우리말 겨루기(6.24)에서 '시발역→출발역', '개찰→표 확인, 열차시격→배차간격 등의 순화어를 출제했는데 출연자들의 반응이 뜨거웠습니다. 매일 철도를 이용하는 1000만 명 이상의 국민들이 불편함이 없도록 앞으로 대국민 홍보에도 힘써 순화 용어를 널리 알리고 현장에 뿌리내리게 하여 안전한 철도 환경을 만드는 데 온 힘을 기울일 예정입니다."

40년간 철도에 근무하다 2021년에 퇴임한 바 있는 이재성씨(세종국어문화원 대외협력관)는 "광궤→넓은 레일 간격, 표준궤→표준 레일 간격, 협궤→좁은 레일 간격 등과 같이 일부 순화어는 원래 용어보다 길어지는 문제는 있지만 쉽게 이해되는 용어로 인해 철도 현장 근무자들에게도 안전한 근무 환경에 도움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다만 '광궤, 표준궤, 협궤'는 현장에서는 넓이에 따른 레일 종류로 인식하므로 '넓은 레일, 표준 레일, 좁은 레일'이 더 나을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태그:#철도용어, #전문용어, #용어순화, #공공언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훈민정음학과 세종학을 연구하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