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아파트를 포함하는 부산 구덕운동장의 복합 재개발을 놓고 반대 여론이 확산하는 등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아파트를 포함하는 부산 구덕운동장의 복합 재개발을 놓고 반대 여론이 확산하는 등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 김보성

관련사진보기

 
안전진단 C등급으로 보수가 필요한 구덕운동장의 재개발을 둘러싸고 아파트 건립에 반대하는 주민 서명이 1만 7천 명을 넘어섰다. 논란이 커지자 시는 아파트 규모 등 여론을 최대한 반영하겠다며 진화에 나섰다.

구덕운동장 아파트 건립 반대 주민협의회는 27일 1만 7220명의 의견이 담긴 서명부를 부산시에 전달하려 했지만, 무산됐다고 밝혔다. 시장실에 건네겠다는 주민 의견과 문화체육국이 대신 받겠다는 시의 입장이 충돌한 탓이다. 임병율 주민협의회 회장은 "부산시가 이렇게 나온다면 조만간 서명지 원본을 들고 국토교통부를 찾아가겠다"라고 말했다.

이번 서명은 지난 1일부터 20일간 서구 곳곳에서 진행된 것이다. 이는 부산시가 낡은 시설을 복합개발 하겠다며 도시재생 혁신지구 공모에 나서자 주민들이 뭉쳐 반발하고 나선 결과다. 지난 7일 제출한 신청서를 보면 시는 구덕운동장 일대 7만1577㎡ 부지에 1만 5000석 규모의 축구 전용구장 등 문화체육시설, 공동주택 등을 조성하려 한다.

사업비만 7990억 원으로 추정하는데,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을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주택도시기금, 민간 투자금으로 충당한다는 계획이다. 문제는 여기에 49층, 850세대 아파트 건설안이 포함돼 논쟁을 불렀다. 시는 아파트 복합개발 사례인 인천 숭의아레나파크 등을 닮은 꼴로 들고 있지만, 주민들은 쉽사리 동의하지 않는 분위기다.

서명을 건네기 전 기자회견까지 개최한 협의회는 "아파트, 오피스텔 등으로 사업비를 회수하겠단 계획은 부동산 투사 사업으로 오해될 수밖에 없다"라며 부산시 계획 철회를 촉구했다. 이들은 원도심의 스포츠 메카이자 역사적 공간이 위기에 처했다고 목청을 키웠다. 구덕운동장은 부산 최초의 공설운동장으로 2020년 미래유산으로 선정됐다.

시는 주민의 우려처럼 아파트 건립이 공공성을 훼손하는 것은 아니라고 반박했다. HUG와 부산시가 출자하는 리츠가 사업시행 주체여서 일반 개발과는 다르단 설명이다. 하루 전 기자 브리핑에서 시는 "인근 주민이 모두 이용하는 시설로 조성하고, 주민 의견을 반영해 아파트 규모도 조정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노후한 부분을 모두 바꾸려면 막대한 예산이 필요한데, 사업비 확보 차원에서 아파트는 불가피한 선택이란 점도 내세웠다. 시는 공공 주도 통제를 통해 주거 시설은 최소화하고, 구덕운동장의 상징성도 보존하겠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주민 반대에 의회까지 제동을 건 상황이어서 파장은 계속될 모양새다. 지난 10일 시가 부산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에 낸 '구덕운동장 일원 도시재생혁신지구 계획안 의견청취안' 등은 여야 의원들의 집중포화 속에 결국 심사가 보류됐다. 시의회는 공론화가 우선이란 태도다.서지연(더불어민주당) 시의원은 "다음 회기에 다시 올라온다면 반대가 큰 사안을 어떻게 잘 풀어가는지 판단해 의견을 낼 예정"이라고 말했다.
 
아파트를 포함하는 부산 구덕운동장의 복합 재개발을 놓고 반대 여론이 확산하는 등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아파트를 포함하는 부산 구덕운동장의 복합 재개발을 놓고 반대 여론이 확산하는 등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 김보성

관련사진보기


태그:#구덕운동장, #복합재개발, #아파트논란란, #반대서명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김보성 기자입니다. kimbsv1@gmail.com/ kimbsv1@ohmynews.com 제보 환영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