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라인야후-네이버와 시스템 분리 계획을 보도하는 일본 NHK 방송
 라인야후-네이버와 시스템 분리 계획을 보도하는 일본 NHK 방송
ⓒ NHK

관련사진보기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라인'을 운영하는 라인야후가 네이버와 네트워크 분리를 앞당기기로 했다. 

일본 공영방송 NHK는 27일 "라인야후가 네이버와 네트워크 분리를 당초 계획보다 앞당겨 2026년 3월까지 완료할 방침을 굳혔다"라고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라인야후는 '인증 기반'으로 불리는 네이버와 네트워크 분리를 일본 및 해외 자회사에서 순차적으로 실시하고 2026년 12월까지 모든 분리를 완료하기로 했으나, 이를 9개월 더 앞당겨 완료하겠다는 것이다. 

관계자에 의하면 라인야후는 일본 총무성의 잇따른 행정지도에 계획을 앞당겨 2026년 3월 네트워크 분리를 끝내기로 했다. 

라인 '네이버 지우기' 빨라진다... 자본 관계는 "협의 중"

앞서 총무성은 지난해 11월 네이버 클라우드가 사이버 공격으로 악성코드에 감염돼 라인야후에 약 52만 명의 일본인 개인정보가 유출되자 올해 3월 통신 비밀 보호와 사이버 보안 강화를 요구하는 행정지도를 내렸다.

라인야후는 네이버에 위탁한 서비스 개발 운용을 차례로 축소 및 종료해 나가고, 2026년 12월까지 네이버와 시스템을 완전히 분리하겠다는 보고서를 총무성에 제출했다.

그러나 총무성은 4월 "라인야후가 제출한 재발방지책이 불충분하다"라며 네이버와의 자본 관계를 재검토하라는 행정지도를 다시 내렸다.

이와 관련해 이데자와 다케시 라인야후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18일 도쿄에서 열린 주주총회에서 보안 대책 강화와 관련해 "네이버 클라우드와 직원용 시스템 인증 기반 분리를 2024년도 안에 끝내도록 추진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또한 "자회사가 2026년도 중으로 네이버와 네트워크 분리 완료를 예정하고 있으나, 더 앞당길 수 있도록 계획을 세울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라인야후-네이버와 시스템 분리 계획을 보도하는 일본 NHK 방송
 라인야후-네이버와 시스템 분리 계획을 보도하는 일본 NHK 방송
ⓒ NHK

관련사진보기

 
행정지도는 법적 구속력이 없지만, 일본 정부가 네이버를 압박해 라인야후의 경영권을 빼앗으려 한다는 논란이 일었다. 

또한 <마이니치신문>이 지난 21일 "총무성이 3~4월 행정지도를 내릴 당시 일본 집권 자민당 관계자가 손정의(일본명 손 마사요시) 소프트뱅크그룹 회장을 만나 '라인야후를 일본 인프라로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다고 보도하면서 이 같은 의혹에 불이 붙었다(관련 기사 : "라인야후를 일본 인프라로" 자민당 요청에 손정의 "책임지고 할 것").

네이버가 2011년 서비스를 시작한 라인은 일본 국민 대다수가 사용하는 '국민 메신저'로 자리 잡았다. 네이버는 2019년 소프트뱅크의 검색엔진 업체 야후재팬과 라인 지주사인 A홀딩스를 설립했다. A홀딩스 지분은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50 대 50 비율로 보유하고 있다. 

라인야후는 네이버와 네트워크 분리에 관한 계획을 총무성이 재발방지책을 제시하라고 요구한 시한인 내달 1일까지 보고할 계획이다. 다만 네이버와 자본 관계 재검토 문제에 대해서는 "네이버와 계속해서 협의한다"라는 방침에 그칠 것으로 전해졌다.  

태그:#라인야후, #네이버, #소프트뱅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