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한국 정부의 우키시마마루호 승선자 명부 요구를 보도하는 <도쿄신문>
 한국 정부의 우키시마마루호 승선자 명부 요구를 보도하는 <도쿄신문>
ⓒ 도쿄신문

관련사진보기

 
한국 정부가 한국인 수천 명이 희생된 것으로 알려진 1945년 우키시마마루(浮島丸·이하 우키시마)호 폭침 사건과 관련해 일본 정부에 승선자 명부를 달라고 요구했다고 일본 <도쿄신문>이 22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제 강제동원 희생자 유해 봉환을 담당하는 한국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외교부를 통해 관련 자료를 일본 측에 요청했다"라고 밝혔다.

한국 외교부 당국자도 "최근 존재가 확인된 우키시마호의 승선자 명부를 입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일, 승선자 명부 없다더니... "70개 정도 있어"

일본 정부는 그동안 승선자 명부가 우키시마호 침몰로 상실됐다며 존재를 인정하지 않다가 올해 들어 정보공개 청구를 받고 명부 3개를 공개했다.

이와 관련해 지난달 국회 외무위원회에 출석한 미야자키 마사히사 후생노동성 부대신(차관)은 일본 공산당 고쿠타 게이지 의원의 질의에 "승선자 '명부'라고 이름 붙은 자료가 70개 정도 있다"라고 밝힌 바 있다.

당시 미야자키 부대신은 승선자 명부가 있는데도 그동안 공개하지 않았느냐는 지적에 "승선을 예정하고 있던 사람이 기재된 명부이며, 법령에 근거한 최종 승선자 명부가 아니다"라고 답했다. 

고쿠타 의원은 일본 정부가 1991년과 1992년 조선인 강제동원 피해자 명부 사본을 한국 정부의 요청에 따라 제공한 적이 있다면서 "이번에 발견된 명부도 (한국 정부에) 제공하는 것이 도리에 맞다"라며 "명부를 공개하는 것이 희생자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라고 촉구했다. 

그러나 가미카와 요코 외무상은 "양국 간에 그런 교환이 있었다는 것은 알고 있다"라면서도 승선자 명부를 한국 정부에 제공할지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광복 직후 재일 한국인 태우고 부산 향하다 폭침 
 
1945년 8월 22일 폭침된 우키시마호
 1945년 8월 22일 폭침된 우키시마호
ⓒ 위키피디아

관련사진보기

 
우키시마호는 1945년 광복 직후 귀국하려는 재일 한국인들을 태우고 부산으로 향한 일본의 해군 수송선이다.

1945년 8월 22일 아오모리현 오미나토항을 출발한 우키시마호는 이틀 뒤인 24일 교토 마이즈루항에 기항하려다 선체 밑부분에서 폭발이 일어나 침몰했다.

당시 일본 정부는 우키시마호가 미군이 설치한 해저 기뢰를 건드려 폭침했고 승선자 3700여 명 중 524명이 숨졌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유족들은 생존자의 증언을 근거로 승선자 6천∼8천 명이었고 3천 명 넘게 숨졌다고 주장했으며, 일본이 의도적으로 배를 폭파했다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생존자와 유족들은 1992년 일본 정부의 안전관리 의무 위반을 문제 삼아 일본 법원에 소송을 냈지만 폭침 원인이 기뢰에 의한 것이므로 국가의 책임을 인정하지 않아 2004년 대법원에서 패소가 확정됐다.

태그:#우키시마호, #일제강점기, #한일관계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