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012년 총선과 대선이 있는 중요한 해에 청춘들이 본인들의 목소리를 내기 위해 모였다. 지난 2월 22일 서대문 레드북스에서 열린 '청춘들의 역습 : Part 3 대학의 역습'이 바로 그것. 20대들이 직접 기획하고 참여하는 청춘 토크파티의 형태로 대학의 역습이 시작됐다. 평일, 그리고 오후 7시가 넘은 시간이었지만, 약 30명 정도의 청년들이 서대문 레드북스에 모였다.

 

토크파티의 1부는 '사교육 걱정 없는 세상'의 정수현씨의 강연으로 채워졌다. 혁신대학플랜등의 새로운 얘기들이 많이 소개됐다. 2부는 대학 문제와 관련된 테이블 토크로 진행됐다. 

참여자들은 토크파티라는 생소한 방식에 낯설어 하면서도, 본인들의 경험과 생각등 다양한 이야기들을 이어갔다. 이들은 '한 학기의 시작과 끝, 수강신청부터 강의평가까지' '학벌, 뿌리 깊은 나무' '등록金(금), 나한테 해준게 뭐야?' 등의 주제로 각 테이블 마다 진행됐다. 

 

대학의 역습 3조에서는 '등록金(금), 나한테 해준게 뭐야?' 라는 주제로 토크가 진행됐다. 주로 청춘들이 빚쟁이가 되고 꿈이 사라진 이 사회의 문제점들에 대해 언급됐다. 토크 시작에 앞서 한 참가자는 이렇게 말했다.

 

"어떻게 보면 대학 때 공부하고 자유롭게 노는 것도 좋고 새로움 경험도 좋은데 등록금 문제 때문에 부담을 덜기 위해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자유가 없는 것 같아요. 고등학교 때 보다 자유가 없어요. 자신이 사회에 나갔을 때 자신이 원하는 것을 할 것인지 대출을 받거나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꿈을 포기하고 취업전선에 뛰어들어야 하는 현실이 안타까워요."

 

또한 도우(필명)씨는 "주변에 아는 분중에 학자금 대출 빚으로 인해서 결혼을 늦추고 있는 분이 있더라고요"라며 자신의 주변 경험담을 얘기했다.

 

20대, 청춘들이 대학에 입학해 겪는 가장 큰 고민이 아닐 수 없다. 자신의 꿈을 현실과 타협할 수밖에 없는 말 그대로 20대 청춘들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현재 등록금 책정 과정과 등록금으로 걷힌 돈들의 수입에 관한 투명하지 않은 운영에 관한 발언도 나왔다.

 

"대학이 등록금을 걷어서 어떻게 쓰는지 모른다. 우리나라 교육이 중요한데 매우 불투명하다 등록금이 비싸고 싸고를 떠나 너무 불투명하다. (필명 : 청년 성욱)

 

"등록금이 책정되는 데에 등록금 심의 위원회가 법으로 정해져있는 것으로 아는데, 사실상 교직원 , 전문가, 학생의 구성이다 보니. 학생들의 발언권이 약한 것 같아요" (필명 : 김볌수)

 

현재 많은 대학들이 등록금을 걷어 무엇을 하고, 본인 스스로가 어떤 혜택을 받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뒤를 이었다. 그리고 책정 과정에서의 문제점 또한 지적되며 학교 측의 일방적인 등록금 책정과정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또한 테이블 토크를 진행하며 현재 30대에 접어든 과거 선배들과 그리고 예체능 계열의 학생과 소통하는 기회도 있었다.

 

"10년 전에 우리들은 등록금이 150~200만 원 쯤 했던 것 같아요 "

"지금 저는 예체능 계열을 다니고 있는데 500만 원 가까이에 육박해요" (필명 : 보임)

 

과거와의 비교를 통해서 현재의 대학 등록금의 현실을 체감하면서, 현재 등록금 문제의 현 주소를 다른 세대,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었다. 소통에 관해 현재 많은 대학생들이 등록금을 본인 스스로 내는 사람이 적기 때문에 본인의 문제라고 인식하는 정도가 적다는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다. 

 

또한 지방의 국립대에 다니는 학생도 학비가 비싼 편이 아니기 때문에 본인도 지금까지는 많은 관심이 적었다고 고백했다. 하지만 등록금 문제는 비단 소수의 문제가 아니라 이 시대 청춘들이 짊어지고 있는 짐이기 때문에 함께 공유하고 문제제기를 해야 한다는 점에선 대다수가 동의하며 토크는 마무리됐다.

 

KYC와 20대 파티가 공동 기획하는 '2012청춘들의 역습'은 청년들이 모여 그들 세대가 직면한 일자리, 정치, 대학, 주거, 지역 등의 이슈에 대하여 유쾌하고 거침없이 이야기하는 자리다. 2월 24일 시청 레이첼 카슨 홀에서는 '주거의 역습'이 열릴 예정이다.


태그:#KYC, 20대파티, 체인지리더, 체리, 대학, 등록금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