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어느 교복 브랜드의 광고 사진.
▲ 아이비클럽의 광고 어느 교복 브랜드의 광고 사진.
ⓒ 아이비클럽

관련사진보기

엉덩이로 공부하다가 파열이라도 될까봐 건강검진도 받아야 하고, 가파른 길 위에 있는 학교 탓에 등교가 두려워지는 여름이다. 요즘 나의 관심사는 단연 하복이다. 학창시절 마지막 하복인데다 어디서 사야 할까 나는 내심 고민하고 있다.

요즘 학교에 가면 온통 교복 얘기들로 어수선하다. '이곳이 좋더라.', '치마는 이곳이 예쁜데 셔츠는 저곳의 것이 더 날씬해 보이더라.'는 등의 말이 여기저기서 나온다. 여기서 '이곳' 혹은 '저곳'이란 당연히 메이커 교복 가게를 의미한다.

"허리 잘록"
"다리가 길어 보이는 교복"
"2010년 여름, 우리는 아이돌이 된다."
"라인 있는 교복"
"우리 교복은 좀 빠르다."

등을 구호로 내건 브랜드 교복 말이다.

우리 반, 하복을 입은 첫 타자는 A양이었다. 그 애는 딱 붙는 교복과 그에 어울리는 노란 스웨터를 입어 친구들의 관심을 끌었다. 날씬한 그 애가 몸매를 살려주는 교복을 입으니 퍽 예뻤다. 노란색 스웨터를 같이 입어 청순한 여고생의 이미지를 부각시키기도 했다. 친구들 역시 그녀의 옷맵시에 보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교복과 함께 갖가지 예쁜 아이템은 스타일의 조화를 이룬다. 이는 우리의 예뻐지고 싶은 욕구를 잘 드러낸다. 우리가 유행을 따르고 외모와 옷차림에 민감한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예뻐지고 싶은 본능이다. 내적 아름다움을 추구해야 한다고들 하지만 사춘기인 우리는 겉으로 드러나는 멋을 외면하지 못한다.

하지만 그 애의 치마는 허벅지를 드러내고, 셔츠는 허리선을 타고 내려갔다. 치마 길이는 당혹스럽기 그지없다.

거울을 보며 터져 오는 재킷의 단추를 잠가 본다. 숨겨 놨던 뱃살이 나올 염려는 잠시 접어두고, 배가 쏙 들어가도록 힘을 바짝 주어 본다. 조심스레 단추를 안쪽 구멍으로 넣어 본다. 성공이다. 만족스럽다.

거울에 비친 '나'의 모습은 흡사 소녀시대의 몸매를 능가할 것이라는 착각 아닌 착각에 빠져 본다. 잘록한 허리, 길고 늘씬한 다리. 획일화된 미의 기준이 우리를 옭아맨다. '나의 교복'이 아닌 '교복의 나'가 되어버렸다. 교복이 우리를 지배한다.

'교복이 우리를 지배하고 있는 상황'에서 '교복'이란 광고 세례와 기업이 추구하는 이윤 동기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기업은 그들 자신이 만들어낸 유행을 우리에게 은근히 강요한다. 그럼 우리는 거기에 못 이긴 척 따라간다. 대중매체에 드러난 이상적인 몸매의 연예인들, 그들이 보여주는 선정성. '나'도 그 브랜드 교복을 입으면 여느 연예인들과 같은 몸매를 가질 수 있다는 환상의 볼모가 되어.

별반 소용이 없는 할인권, 있든 없든 별반 차이가 없다.
▲ 할인권 별반 소용이 없는 할인권, 있든 없든 별반 차이가 없다.
ⓒ 스쿨룩스, 엘리트

관련사진보기


광고료가 붙어 치솟는 교복 값. '예뻐지고 싶다.'는 심리를 이용해 우리를 자극하고 '좀 더 딱 붙게 좀 더 짧게'를 강요하는 브랜드 교복들. 교복이 워낙 타이트하다 보니 얼마 안 가 새 교복을 구입하는 일도 적지 않다. 결국 브랜드 교복을 만드는 사람들은 그런 추가 수요까지 감안하고 옷을 만드는 건 아닐까 하고 생각하면 입맛이 쓰다.

올 3월, 경기도교육청이 추진한 교복공동구매가 교복 값의 거품을 걷어냈다는 뉴스가 있었다. 경기도내 중고등학교의 약 72%가 교복 공동 구매에 참여했으며, 교복 1벌 당 5만 원 가량의 구입비용을 줄이는 효과를 봤다는 것이다. 교복공동구매는 자칫 부담이 될 수 있는 교복 값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이다. 남이 입던 헌옷이라는 점을 거리껴 하지 않는다면  '교복 물려주기'도 부담을 줄이는 방안이 될 수 있다.

매년 입학 때면 학부모들은 신경을 곤두세운다. 재작년의 '여름 같던 봄'에도, 작년 '봄답던 봄'에도 그러했고 올해 쌀쌀한 봄에도 그러했다. 부모님들은 유명 브랜드가 아닌 교복가게에서의 '공동구매'를 권하지만 '간지'를 추구하는 우리에게는 그것은 성이 차지 않는다. 아이들의 눈썰미는 브랜드 교복이 아닌 '공동구매 교복'을 금방 꿰뚫어 본다. 이런저런 이유로 우리는 결국 메이저 교복사로 발걸음을 옮길 수밖에 없는 것이다.

2009년, 네 개 교복 브랜드는 '원더걸스, 김연아, 2PM, 빅뱅, 샤이니' 등을 내세워 우리들을 유혹했다. 교복 값에 포함될 것이 빤한 광고비용이 논란이 되자, 올해는 대형스타 대신 조금 덜 알려진 연예인들이 모델이 되었다. 하지만 교복 값은 거의 변화가 없다. 여전히 동복은 한 벌 당 20만 원대 후반, 하복은 10만 원 선이다. 이 부담은 물론 우리 부모님들에게로 돌아간다.

우리 지역에서 학부모들이 브랜드 교복의 문제점에 대해 논의하거나 교복의 가격을 낮추려는 움직임은 거의 없는 편이다. 부모님들은 울며 겨자 먹기로 브랜드 교복에 만만찮은 비용을 지불할 수밖에 없다.

스쿨룩스(위), 아이비클럽(아래 왼쪽), 엘리트(아래 오른쪽).
▲ 교복 브랜드 스쿨룩스(위), 아이비클럽(아래 왼쪽), 엘리트(아래 오른쪽).
ⓒ 스쿨룩스, 아이비클럽, 엘리트

관련사진보기


한편, 우리가 잊고 있는 사실 하나가 있다. 이 문제의 주체는 '우리'라는 것이다. 기업은 우리의 예뻐지고 싶어 하는 욕구를 자극함으로서 그들 자신의 이익을 키우려 한다. 우리는 그들의 판매 전략의 포로가 됨으로써 주체가 아니라 수동적 객체가 되어 버린다. 부모님들이 져야 하는 부담도 덤으로 주어진다.

우리는 소비의 주체로서 우리 자신의 이해를 관철할 수는 없을까. '나의 맵시'는 맵시대로 나면서 '부모님의 부담'은 줄일 수 있는 묘안은 어디 없을까. 그러나 내 작은 머리는 여기까지 오는데도 터져 버릴 것 같다. 

거울 속의 나를 바라본다. 숨을 겨우 쉴 수 있을 정도의 교복을 입고 팔도 제대로 들지 못하는 '나'의 모습을. 모델의 콜라병의 몸매와 같은, 예뻐지고 싶다는 욕망은 무한하여 오늘도 나는 치마를 끌어 올린다. 불편한 몸 따위는 안중에도 없다. 그 뒤에 또 다른 내 모습이 보인다. 그러나, 아니라며 현실의 '나'를 외면하려는 그 모습은 너무나 작고 초라하기만 하다.

덧붙이는 글 | 저는 현재 고등학교 1학년 학생입니다.



태그:#교복, #공동구매, #유행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