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학교급식은 다양한 측면을 담고 있는 포괄적인 현상이다. 그런데 이번주 미국에서는 학교급식이 국가안보와 직결된다고 주장하는 퇴역장교집단 주도의 기자회견이 열렸다. 기자회견 장소는 국회의사당이며 공화당 출신 원로 상원의원 리채드 루가(전 상원 외교분과 위원장)와 오바마 정부의 농림부 장관 탐 빌섹이 기자회견장에 동석하였다.  우리나라와는 달리 미국에서는 2차대전 직후에 군 지도자들이 학교급식 문제를 본격적으로 들고 나왔다는 사실이 매우 경이롭다.

미국에서는 학교급식지원법안을 서둘러 통과시킨 바 있다. 종전직후 2차대전을 승리로 이끈 일단의 군지도자들이 학생들에 대한 충분한 영양분을 학교급식을 통해 공급하는 법안을 의회가 최우선적으로 통과시키도록 건의한  것이다.

그러한 전통을 이어받은 고위 장교 단체가 이번에는 오바마 정부의 정책을 지지하면서 학교급식을 전면 개선하도록 촉구하고 나섰다. 1946년의 학교급식은 당시 학생들의 영양실조가 국가안보에 지장을 초래할 것을 장교들이 걱정한 데서 촉구된 법안이라면 55년이 흐른 지금은 영양과다(아동의 비만)가 심각한 국가안보위협이라는 우려에서 비롯되었다는 뚜렷한 차이가 있다(해당 사이트 보기).

아동을 위한 군지도자(Military Leaders for Kids)라는 이들은 미국의 웨슬리 클락(전 나토군 사령관이자 미 대통령선거 예선후보)장군 등 고위장성을 포함한 육해공군 퇴역장교들이 중심이 된 단체 미션:레디니스(Mission: Readiness)이다 (기자회견 내용 보기)

이들은 아래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한 건강한 학교급식 법안을 실행해 달라고 요구했다.   

1. 학교급식에서 정크푸드와 고칼로리 음료추방
2. (오바마 정부가 제안한)10년간 매년 10억달러(총 100억달러)에 달하는 학교급식 예산 추가 지원법안 연내 통과
3. 학부모와 학생들이 평소 건강한 섭식과 운동습관을 기르도록 학교가 앞장 설 것

차세대의 건강은 국가 안보와 직결된다는 인식을 가진 장성들이 내뿜는 애국정신의 발로를 누가 막겠는가?


태그:#무상급식, #정크푸드, #국가안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