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014년 동계 올림픽 개최지 결정이 이틀 앞으로 다가왔다. 그 어느때보다 치열한 경쟁 속에서 각 후보 도시의 국가 원수까지 IOC 총회가 열리는 과테말라로 건너가 활발한 유치 활동을 벌이고 있다.

평창은 4년전 2010년 동계올림픽 개최지를 결정하는 투표에서 캐나다 벤쿠버에 4표차로 아깝게 역전패 했던 경험을 가지고 있다. 유치단은 '또 다시 실패는 없다' 라며 확신하고 있고 여기에 평창의 개최 가능성이 가장 높다는 희망적인 외신이 보도되고 있다.

올해 유난히 세계적인 이벤트의 개최지 결정이 많다. 지난 3월에는 201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개최지로 대구가 선정되었고 4월에는 인천이 2014년 아시안게임 개최지로 선정되었다.

여기에 이틀 후에는 2014년 동계 아시안 게임의 개최지가 선정되고 12월에는 여수가 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세계 박람회의 개최지 선정이 있다. 또한 전라북도가 201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대회를 유치하기 위해 준비를 시작했다. 모두 대회 유치에 성공한다면 우리나라는 불과 3년동안 5개의 국제적인 이벤트를 개최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벤트 개최가 불러오는 긍정적인 효과는 크다. 1988년에는 서울 올림픽 개최를 통해 대한민국의 이름을 전 세계에 알렸다. 또한 2002년 월드컵에서 4강 진출과 함께 뜨거웠던 국민적 에너지를 발산했던 기억도 있다. 수치로 표현되는 경제적 효과 또한 분명히 존재했다. 때문에 평창을 비롯하여 다른 도시에서도 이러한 국제 이벤트를 유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각종 언론에서는 모두가 개최를 염원하고 있다.

개최가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다

문제는 이러한 염원이 대회 유치의 부정적인 측면을 외면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장 환경과 사람을 중시한다는 평창의 올림픽 계획에서도 경기장 건설에 따른 환경파괴가 예상된다.

기존의 스키장을 확충하고, 경기장간 원할한 이동을 위해 도로를 신설하는 계획은 아무리 환경 파괴를 최소화 한다고 해도 불가피한 환경 훼손이 발생하게 된다. 1976년 미국의 덴버가 동계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되었지만 환경파괴에 대한 우려로 인해 시민투표에 의해 부결된 사례가 있다. 이에 반해 평창의 경우 이러한 환경 파괴에 대한 정보 부족과 그에 따른 인식의 부족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또 있다. 개최 효과의 경제적 분석 측면이다. 유치단이 내세우는 평창 동계 올림픽의 경제적 효과는 생산유발액 11조5000억원, 부가가치 창출액 5조1000억원, 고용효과 14만3000여명이다.(강원도, 서울대 스포츠 연구센터 공동연구) 이 숫자를 그대로 받아들여서는 안된다.

이 숫자에는 앞에서 말한 환경 파괴에 따른 비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또한 14만3000여명의 고용효과중 대부분은 올림픽을 준비하고 개최하는 과정에서의 고용효과이다. 즉, 올림픽이 끝나면 그 고용효과는 많은 부분이 상쇄된다는 이야기이다.

2002년 월드컵 개최에 따른 경제적 효과의 분석은 아직도 진행중이다. 또한 주관적으로 평가할 수 밖에 없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각 조사 주체마다 추정치가 모두 다르다. 그 중 공통점은 개최 이전의 추정치보다 개최 이후의 분석에서 그 효과가 줄어든다는 점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개최 이전 경제적 효과를 약 23조, 고용효과를 33만명, 5억2000만 달러의 관광수입을 예상했다. 그러나 2004년 조사에서는 경제적 효과 29조, 고용효과 23만명, 관광 수입 4억 달러라고 밝혔다. 경제적 효과가 늘어난 것은 한국이 4강에 진출함에 따라 국가 브랜드의 재고라는 간접적 효과가 반영된 것이라고 덧붙였다(2004 국가기록포털)

막대한 비용을 들여 건설한 경기장 중 A매치를 자주 개최하는 상암 월드컵 경기장을 제외하고 다른 9개 구장은 매년 20~120억의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대회의 개최가 경제의 악영향을 미친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수치에서 볼 수 있듯이 분명히 플러스의 효과이다. 다만 부풀려진 수치가 홍보 수단으로 사용된다는 점이다.

합리화되는 전체주의

지난 1988년 서울 올림픽이 개최되기 직전 공항, 선수촌, 경기장, 관광지 등 외국인이 많이 오가는 지역의 빈민촌과 노점상이 강제 철거 되었다. 외관상 좋지 않다는 이유였다.

2002년에는 기대 심리에 의해 경기장 주변 땅값이 폭등하여 피해를 입은 세입자에 대해 급한불을 끄는 보상 정도로 마무리했던 일도 있다. 또한 당시 여러 사건으로 인해 빈번했던 반미시위를 월드컵 기간 중 원천봉쇄했던 일도 있다.

명목상 큰 것을 위해 작은 것을 묵살하는 것이다. 비단 우리나라만의 일이 아니다. 이러한 세계적인 행사를 진행하는 와중에는 전체주의가 합리화되는 경향이 강하다. 동계 올림픽 개최라는 큰 목표를 이루기 위해 우리가 무시하고 있는 것이 없는가 살펴 보아야 한다.

당장 지난 2월 동계 올림픽 실사단 방문시 꽃을 들고 환영했던 인파에서 불과 수백 미터 떨어진 곳에는 작년 여름 수해의 상처가 그대로 남아있다. 1년이 지나도록 복구가 미진한 상황에서 강원도는 올림픽 개최가 더 큰 일인가, 아니면 도민의 어려운 삶을 치료해주는 것이 더 큰 일인가.

무조건적 유치가 대세가 아니다

과테말라에서 활동하고 있는 유치단이 내세우는 중요 근거 중 하나가 전 국민의 91%가 개최를 찬성한다는 것이다.

91%라는 숫자 자체에 믿음이 가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정말 91%가 동계 올림픽 개최에 찬성한다 하더라도 그들에게 앞에서 말한 부정적인 측면이 제대로 전달되었다고 보기 힘들다.

이러한 정보를 전하는 것은 유치 가능성을 점치는 것보다 중요한 언론과 정부의 할 일이다.

#동계올림픽#평창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