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언론이 세상을 바라보는 렌즈에는 많은 흠집들이 있습니다. 때문에 이 렌즈를 통과하는 사실들은 굴절되거나 아예 반사돼 통과하지 못하기도 합니다. 언론들이 의도적으로 비틀어 왜곡하거나 감춘 사실들을 찾아내 까칠하게 따져봅니다.[편집자말]
윤석열 대통령이 2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잔디마당에서 열린 '대통령의 저녁 초대' 출입기자단 초청 만찬 간담회에서 계란말이를 만들고 있다. 2024.5.24
 윤석열 대통령이 2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잔디마당에서 열린 '대통령의 저녁 초대' 출입기자단 초청 만찬 간담회에서 계란말이를 만들고 있다. 2024.5.24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결국 제대로 된 질문 하나 없었습니다. 

지난 24일 윤석열 대통령과 대통령실 출입 언론인들과의 만찬은 말 그대로 '친목형 회식 자리'였습니다. 당시 메뉴는 고기와 계란말이, 대통령의 요리법으로 요리사들이 만든 김치찌개 등이었다고 합니다(관련기사: 김치찌개 퍼준 윤 대통령 "언론인 해외연수 대폭 늘려라" https://omn.kr/28sxf). 

대통령표 김치찌개 먹고 '잡담' 나눈 기자들

당시 윤석열 대통령이 앉은 테이블에는 뉴시스, 채널A, 한국경제, 뉴데일리 등 기자단 간사들이 자리했습니다. 하지만 중요 현안과 관련해선 어떤 질문도 나오지 않았습니다. 복수의 출입기자에 따르면 당시 테이블에선 저출생 대책 관련한 의견 정도만 피력됐고, 나머지 시간은 '잡담' 수준으로 채워졌다고 합니다. 

지금이 그렇게 한가한 시기입니까. 채상병 특검, 김건희 여사 수사, 검찰 인사, 네이버라인 사태 등 국민들이 궁금해하는 현안이 여느 때보다 많은 엄중한 시기입니다. 공식 기자회견이 아닌 만큼 대통령의 발언은 엠바고(보도 유예)나 오프더레코드(비보도)될 수 있었지만, 적어도 대통령과 함께 자리에 앉은 기자들은 충분히 질문할 수 있었을 겁니다. 대통령실 측에서 사전에 질문을 하지 말아 달라는 가이드라인도 없었다고 합니다. 

그런데도 대통령과 함께 앉은 기자들 사이에서 제대로 된 질문은 나오지 않았습니다. 200여 명의 언론인들이 있었고, 대통령이 다른 기자들이 앉은 테이블을 돌면서 인사를 나누기도 했지만, 이 시간 역시 '질문'은 실종됐습니다.

처음 기자를 시작할 때 들었던 인상적인 말은 "기자는 대통령도, 노숙인도 만날 수 있다"였습니다. 국민의 관심사를 취재하는 기자들은 신분에 상관없이 누구나 만나서 질문할 수 있다는 거였습니다. 누구를 만나는 것보다 더 중요하게 고민해야 했던 것은 "어떤 질문을 할 것인가"에 대한 부분이었습니다. 기자는 누구나 만날 수 있지만, 질문할 내용이 없다면 누구도 만날 자격이 없습니다.

그날 대통령과 한 테이블에 앉은 기자들은 단지, 대통령을 만났다는 것에만 의미를 뒀던 걸까요? '대통령과의 만남'은 일개 소시민인 기자의 개인사적 측면에선 영광일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입을 닫은 채 질문하지 않고 만남에만 의의를 두는 기자들이 국민들에게도 과연 정당한 평가를 받을 수 있을까요? 

이명박 휴일 담소 보도했다 출입정지 중징계
문재인에 "그 자신감 어디서 나오나" 질문도


지난 정권에서 대통령을 취재했던 기자들도 이 정도는 아니었습니다. 지난 2008년 이명박 정부 당시, 이 대통령이 휴일 기자실에 잠깐 들러 담소를 하던 자리에서도 현안과 관련해 수많은 질문이 나왔습니다. 청와대 측에선 당시 독도 현안과 관련한 대통령 발언을 오프더레코드(비보도)로 걸었지만, 발언의 중요성이 있다고 판단한 <오마이뉴스>는 이를 파기하면서 보도했고, 출입정지 중징계를 감내해야 했습니다

[관련기사]
- 이 대통령이 세 차례나 반복한 '독도 발언' "일본에 위대한 지도자 나오면 달라질 것" (https://omn.kr/bko) 
- <오마이뉴스> 향후 2개월간 청와대 취재 제약 (https://omn.kr/a5aa)  

문재인 정부 당시 기자회견에서 "대통령의 그 자신감은 어디서 나오나"라고 당돌하게 물은 기자도 있었습니다. 인상 비평 수준으로 질문의 질이 낮았다는 언론인들의 지적이 쏟아지고, 문 대통령 지지자들은 "무례하다"고 비판했지만, 그 사건은 기자들이 대통령에게 거침없이 물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사건이기도 했습니다(관련기사: 전여옥 "김예령이 진짜 귀한 기자"... 다른 기자에겐 "간신배" 독설 https://omn.kr/1gp6n). 
 
지난 2019년 1월, 당시 김예령 경기방송 기자가 문재인 대통령 신년 기자회견에서 질문하고 있다. 일각에선 무례한 질문이었다는 비판도 나왔지만, 기자는 대통령에게 무엇이든 물을 수 있다고 보여준 상징적인 일화가 되었다.
 지난 2019년 1월, 당시 김예령 경기방송 기자가 문재인 대통령 신년 기자회견에서 질문하고 있다. 일각에선 무례한 질문이었다는 비판도 나왔지만, 기자는 대통령에게 무엇이든 물을 수 있다고 보여준 상징적인 일화가 되었다.
ⓒ JTBC

관련사진보기

 
지금 대통령실을 출입하는 기자들 중 "거부권 행사를 남발하고, 지지율 20%대인데도 바뀌지 않는 '근자감(근거 없는 자신감)'은 무엇인가"라고 물을 기자들이 있을까요? 저도 언론인이지만 최근 사람들을 만나면서 하는 말이 있습니다. "기자라는 집단은 찍어 누르면 찍소리 못하고, 풀어주면 악을 쓰는 집단 같다"고요. 

윤석열 대통령의 검사 시절 저축은행 수사 무마 의혹, '바이든-날리면'으로 통칭되는 대통령 욕설 보도 등 정권 비판 언론사와 기자에 대해 수사가 이어지고 있고, MBC 등 방송사에 대해선 연일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법정제재가 남발되고 있는 험악한 시대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VIP에 불편한 질문하지 않는 것은 분명히 편하고 안락한 선택일 겁니다. 하지만 그런 몇몇 기자들의 굴욕적 선택에 대한 비판의 화살은 모든 기자들이 받아야 하는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제대로 된 질문 하나 없었던 2시간의 만찬, 이날 만찬은 두고두고 언론 역사에 길이남을 흑역사가 될 겁니다. 

태그:#윤석열
댓글50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3,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