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농림축산식품부가 '농막'을 별장 등으로 악용하는 사례를 막기 위해 칼을 빼들었다.

현장에선 취지는 이해하지만 전업농민의 현실과 동떨어진 탁상행정이라는 지적과 함께, 과도한 규제로 가뜩이나 소멸위기에 처한 농촌지역의 귀농귀촌과 주말체험농장 등을 침체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최근 '농지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했다(5월 12일~6월 21일).

농막은 ▲농자재 보관 ▲수확농산물 간이처리 ▲농작업 중 일시휴식 등을 용도로 설치하는 연면적 20㎡(약 6평) 이하 시설이다. 전원주택이나 별장 등과 달리 소방기준을 적용받지 않는 가설건축물이어서 주거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농식품부는 개정안을 통해 ▲농막 전입신고, 야간취침·숙박, 농작업 없는 여가시설 활용 등 금지 ▲'건축법'상 연면적을 산정할 때 제외하는 데크와 테라스 등 부속시설 농막 연면적 포함, 3년마다 불법증축 등 위반사항을 확인하는 등 농지로 원상복구가 가능한 '건축법'상 가설건축물 신고 ▲귀농귀촌과 주말체험농장 등 비농업인 대상 농지면적 660㎡(200평) 미만 농막 면적 7㎡(약 2평) 이하 제한 ▲휴식공간이 바닥면적 25% 초과시 주거로 판단 등을 담았다.

농막을 입법취지에 맞게 활용하도록 규정을 명확하게 정비하고, 지자체의 사후관리 한계점을 개선·보완한다는 것이다. 

그 근거로는 지난 3월 6~24일 실태점검한 252개 가운데 51%에 해당하는 129개가 주거용으로 불법증축했거나 농사는 제대로 짓지 않고 정원·주차장 등으로 불법활용한 점 등을 들었다.

하지만 본래 기능조차 수행할 수 없도록 하는 과도한 규제라는 비판도 커지고 있다.

사실상 휴식공간은 농업인들이 농사를 짓다 편하게 누워 쉬거나 밥을 먹을 수 없을 정도인 최대 약 1.5평으로 줄어드는 것은 물론, 야간취침·숙박을 금지하면 집과 논밭이 멀리 떨어진 경우 큰 불편을 겪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군에 따르면 4년 동안 군내에서 농막을 포함해 20㎡ 이하 가설건축물을 신고한 건수는 ▲2020년 225건 ▲2021년 254건 ▲2022년 254건 ▲2023년 87건이다.

윤동권 예산군농어업회의소 회장은 "농촌현장에서 사용하는 농막 대부분은 농사를 짓기 위해 설치한 것이다. 별장·레저용으로 악용하는 사례를 막겠다는 취지는 이해하지만, 본래 기능조차 수행할 수 없도록 한 것은 과도한 규제"라며 "농민들이 그동안 허름하게 사용했던 농막을 컨테이너로 바꾸는 경우 등 선의의 피해자가 발생할 수 있다.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우는 격"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야간취침을 금지하면 캠핑카도 금지할 것인가. 기존 컨테이너 농막에 바퀴만 달면 단속 대상에서 피해 갈 수 있다는 것이 된다"며 "농민들이 무더운 여름에 농사를 짓다 열사병에 걸리지 않도록 농막 에어컨 설치 등 정부는 규제 일변도로 정책을 세울 것이 아니라, 권장 내용의 정책을 폈으면 좋겠다"고 일갈했다.

군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예전 원두막 개념이 농막이다. 농기구 보관과 잠시 쉬는 용도로 사용했다"며 "입법예고 내용은 (면적규정 등이 너무 작아) 실효성이 의심된다. 오히려 불법이 횡행하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밝혔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충남 예산군에서 발행되는 <무한정보>에서 취재한 기사입니다.


태그:#농막, #불법농막, #예산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예산의 참소리 <무한정보신문>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