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전기차 배터리.
 전기차 배터리.
ⓒ 업체 제공

관련사진보기


전기자동차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배터리 접합부 결함 여부를 검증해 안전성을 실증하는 시스템을 국내 최초로 광주광역시에 구축된다.

광주시는 4일 산업통상자원부의 'EV 배터리 접합기술 실증기반 구축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돼 국비 102억원을 지원받는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의 목적은 최근 증가한 전기차 배터리 화재의 주요 원인인 배터리 접합부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품질관리법을 확립해 제조 부품부터 완성품까지 실증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배터리 제조기업들은 접합에 관한 국내외 기준과 안정성 실증 기반이 전무한 상황에서 자체적인 기준에 따라 제작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었다.

공모 선정된 광주시는 올해부터 2028년까지 5년 간 사업비 186억원(국비 102억원)을 투입해 배터리 접합기술 실증센터와 시험평가 장비를 구축해 접합부 실증, 시제작 지원, 용접 관련 전문인력 양성 등을 추진한다.

국내 최초로 들어설 실증센터는 평동 1차 산단에 위치한 금형트라이아웃센터를 활용해 구축할 예정이다.

전기차 배터리는 재제조산업 대상 제품에 포함돼 있어 기준이 마련된다면 재생된 배터리는 안전성 실증이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실증센터 구축이 지역의 기업 유치와 미래차 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는 이유다.

광주시는 인공지능(AI)‧이차전지 중심의 시장 전환에 발맞춰 뿌리산업을 로봇‧센서 등 지능화기술과 접목시키고, 첨단 용접기술을 활용한 기술력 고도화를 통해 성장을 촉진시킬 계획이다.

김용승 인공지능산업실장은 "전기차의 핵심부품인 배터리는 광주시의 미래차 전환을 위한 필수 분야로 볼 수 있다"며 "시는 밀접한 자동차산업과 뿌리산업을 인공지능 기반으로 연계해 '미래모빌리티 선도도시 광주'를 실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태그:#전기차배터리, #EV전기차, #전기차화재, #배터리접합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신문과 통신 기자를 거쳐 오마이뉴스 광주전라본부 상근기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기사 제보와 제휴·광고 문의는 press@daum.net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