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 5월2일 서울의 한 은행 앞 대출 현수막.
▲ 5대 은행 가계대출 한 달 만에 반등 지난 5월2일 서울의 한 은행 앞 대출 현수막.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지난 5월 한달동안 은행 가계대출이 6조원 폭증했다. 정부가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지원을 늘렸기 때문이다. 은행 가계빚 잔액 규모는 1109조원을 넘어섰다. 한국은행은 "가계대출이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밝혔다. 

12일 한은이 발표한 '2024년 5월 중 금융시장 동향'을 보면, 지난달 중 은행 가계대출은 6조원 증가했다. 지난 4월 5조원, 지난해 5월 4조2000억원 각각 증가한 것과 비교해 보면 상당폭 늘어난 것이다. 올해 5월 말 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1109조6000억원을 기록했다. 

가계빚 폭증을 이끈 것은 주담대였다. 지난달 은행 가계대출 증가액 6조원 가운데 주담대는 5조7000억원을 차지했고,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3000억원에 그쳤다. 

한은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관계자는 "주택거래 증가 등에 따른 자금 수요가 지속하고, 주택도시기금 정책 대출이 이차보전 방식으로 공급되면서 증가 폭이 확대했다"며 "기타 대출은 가정의 달 등 계절적 자금 수요 등으로 전월(6000억원)에 이어 소폭 증가했다"고 말했다. 

이차보전 방식이란 정부의 직접 자금 지원 금리와 금융회사에서 대출할 때의 금리 차이를 정부가 보상해주는 것을 말하는데, 이런 방식의 지원이 늘면서 주담대도 함께 급증했다는 얘기다. 

1109조원 넘어섰는데..."가계대출,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
 
한국은행
 한국은행
ⓒ 한국은행

관련사진보기

 
실제 주택도시기금 이차보전 방식 대출 증가 규모는 지난 3월 3000억원, 4월 2조8000억원에 이어 5월 3조8000억원 등으로 확대했다. 

한은 관계자는 "지난 3월 이후 주택 매매 거래량이 5만호 내외로 확대하면서 이러한 거래가 시차를 두고 주담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또 주택도시기금 정책 대출의 경우 5월에는 이차보전 방식을 통해 은행 재원으로 대부분 공급되면서 은행 주담대 증가 폭을 확대하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한은은 이러한 가계빚 규모가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했다.  한은 관계자는 "2022~2023년 디레버리징(부채 축소) 시기를 제외하면 (현재의 가계대출 규모가) 예년보다는 낮은 수준인 것으로 보고 있다"며 "현재로서는 가계대출이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4~5월 중 은행 가계대출이 다소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고, 최근 주택 거래도 일부 확대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 주택시장 상황 변화와 통화정책 기대 등 금융 여건이 가계대출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면밀히 검토해 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태그:#한국은행, #대출, #가계부채, #가계빚, #가계대출
댓글4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