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이 1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의회정치 원상복구 의원총회에 참석해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과 관련해 브리핑하고 있다.
▲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관련해 브리핑하는 최남호 2차관 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이 1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의회정치 원상복구 의원총회에 참석해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과 관련해 브리핑하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서울=연합뉴스) 정아란 김철선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는 13일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프로젝트'를 위해 한국석유공사에 자원공기업 융자지원 재개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산업부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의원총회 보고 자료에서 2020년 기준 자본잠식 상태인 석유공사 재무 상황을 고려해 이같이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의원총회에는 최남호 산업부 2차관이 참석해 관련 브리핑을 했다.

산업부는 탐사 성공률 추정치가 20%인 점을 감안해 최소 5공을 시추할 계획이며 오는 12월 1차공 시추를 개시하겠다고 밝혔다.

1공당 시추 비용은 약 1천억원, 5공을 순차적으로 시추할 경우 향후 5년간 5천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올해 확보한 예산이 출자 481억원, 융자 398억원 등 총 879억원이라고 보고해 1차공 시추부터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산업부는 "재원은 정부 재정지원, 석유공사 자체 자금, 국내외 투자 유치 등으로 조달하겠다"며 "비용 절감·위험 요인 완화 차원에서 기술력과 자본을 보유한 민간 투자 유치를 적극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재설정된 광구별로 단계적 투자 유치를 추진하고, 광구별로 외국인 지분 참여 여부와 참여 수준·시기 등을 차별화하겠다는 구상이다.

개발비에 대해선 "매장량이 확인되지 않은 현시점에서 언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도 과거 4500만 배럴을 생산한 동해 가스전의 경우, 총 1조2천억 원의 투자비가 소요된 점을 참고 사례로 들었다.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 분석을 수행한 미국 회사 액트지오(Act-Geo)에 대해선 "심해 탐사 평가 전문 컨설팅 기업"이라며 "브라질, 가이아나, 수리남, 볼리비아 등 다수 지역을 심해 평가했다"고 소개했다.

이와 함께 인력은 직원 7명, 컨설턴트 2명, 파트너사 컨설턴트 5명 등 14명이라고 밝혔다.

산업부는 "대부분이 엑손모빌(5명), 셸(2명), BP(2명), 페트로브라스(1명) 등 해외 메이저 석유개발기업 출신"이라며 "특히 심해 분야 고급 인력을 다수 보유 중"이라고 강조했다.

산업부는 이번 시추가 한일 간 공동개발구역(JDZ) 협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선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어 직접적 연관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면서도 "다만 동해 심해 개발에 성공한다면, 현재 경제성 부족을 이유로 공동 개발에 소극적인 일본이 전향적인 입장을 취할 가능성은 있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태그:#산업부, #석유공사, #동해유전
댓글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바른 언론 빠른 뉴스' 국내외 취재망을 통해 신속 정확한 기사를 제공하는 국가기간뉴스통신사입니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