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자살률 1위, 무엇이 문제인가?

검토 완료

김상진(ksjknife)등록 2011.05.13 16:21
노인자살률 1위, 무엇이 문제인가?

OECD국가 중에 우리나라가 자살률 1등이다. OECD 평균 자살률(OECD 표준인구 10만명당)은 11.2명이나 대한민국은 28.4명이나 된다. 사는 것보다 죽는 것이 편한 세상이라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는 것은 무언가 심각한 문제가 있는 사회임을 반증한다. 노인 자살률을 보면 더욱 심각하다.

2011년 3월에 한림대 김동현 교수가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09년 우리나라 인구 10만명 당 65세 이상 노인자살 수는 77명으로 1990년 14.3명에서 5.38배가 증가했다. 즉, 우리나라의 노인자살률이 전체 자살률에 비해 약2.5배가 높으며, 매일 7~8명의 노인이 스스로 목숨을 끊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특이한 것은 농촌이 도시에 비해 자살이 많다는 것이다. 스트레스가 적고 공기도 좋은 시골에 살면 당연히 죽고 싶은 충동도 적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반대의 결과이다. 통계청의 2008년 지역별 자살률을 보면 고령화가 가장 많이 진행된 전북 임실이 76.1명으로 1위이며, 강원 횡성이 73.9명으로 2위를 기록하고 있다. 다음이 충북 괴산, 강원 고성, 충북 단양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서울의 자살률은 21.6명으로 상대적으로 낮다.

고령화된 농촌사회에서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외로움을 느낀 노인들이 극단적 선택을 하는 경우가 많아 농촌의 자살률이 높다는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또한, 농촌은 부족한 의료체계로 병원 접근성이 떨어지고, 여가시설이 부족하여 정서적인 외로움을 느끼기 쉬워 우울증 등을 앓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 노인자살이 증가하는 이유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1994년~2008년까지 15년간 우리나라 노인의 삶의 질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 노인의 삶이 결코 행복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경제성장과 물질적 풍요가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은 거꾸로 가고 있음을 반증한다.

동년배 노인의 주관적 경제 및 건강 상태 변화 추이 1994년 과 비교하여 2008년에 주관적 건강 상태와 경제 상태를 나쁘다고 느낀 동년배 노인이 증가 했음을 알 수 있다. ⓒ 김상진


조사결과, 노인의 주관적 경제상태는 1994년에 동년배에게 물었을 때 '좋다'라는 응답이 18.0%였으나, 2008년에는 5.9%로 감소하였다. 반면 '나쁘다'라는 응답은 1994년 41.5%에서 2008년 46.3%로 증가하였다.

주관적인 건강상태는 '좋다'는 비율이 1994년 34.8%인 것에 비해 2008년에는 26.2%로 낮아졌다. 반면 나쁘다고 느끼는 비율은 46.7%에서 55.3%로 증가하였다.

노인삶의 만족도 변화 *노인삶의 만족도 측정 방식은 조사년도에 따라 상이함. ⓒ 김상진


삶의 만족도는 1994년 3.63점(5점 만점)이었으나, 2004년 3.3점, 2008년 3.01점으로 계속하여 만족도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대사회의 가족의 해체가 노인의 자살을 불러오는 중요한 요인이다. 국가인권위원회가 2010년 5월에 65세 이상 노인 806명을 대상으로 인권실태를 조사하여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건강상태가 나빠졌을 경우 어디에서 지내고 싶느냐'는 질문에 32.4%가 집보다는 노인요양시설에서 지내고 싶다고 답하였다. 또한, 23.1%는 요양보호사, 간병인 등 외부 도움을 받고 살고 싶다고 답해 노인 10명 중 5명은 병든 노후를 가족이 아닌 다른 사람이 돌봐주길 원하고 있었다.

역지사지 해보면 노인이 되어 병들면 가족이 돌봐주는 것을 원하는 것이 사람의 심리이다. 따라서 가족의 해체는 노인의 정서적 우울증을 불러와 자살을 선택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2011년 어버이날, 용인의 노부부가 아들 부부에게 여행을 권한 후 스스로 목숨을 끊어 많은 사람들의 가슴을 아프게 하였다. 이 노부부는 모두 치매와 암에 걸려 병마와 시름하다 자식에게 폐를 끼치고 싶지 않다는 유서를 남겼다. 이 사건은 어버이날 이라는 특수한 상황에 보도가 되어 많은 사람들이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병마와 빈곤에 시달리다 소리 없이 목숨을 끊는 노인들이 바로 우리 주위에 있을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 이 기사는 생나무글입니다
  • 생나무글이란 시민기자가 송고한 글 중에서 정식기사로 채택되지 않은 글입니다.
  • 생나무글에 대한 모든 책임은 글쓴이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