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제2의 아리셀 참사' 막는다... 위험물 취급소 전수조사 지시

합동점검반 구성, 48개 리튬 사업장 긴급 안전점검 시행... 위험물 취급 업소 '안전 컨설팅' 지시

등록 2024.06.27 15:08수정 2024.06.27 15:30
0
원고료로 응원
a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7일 오전 긴급 대책회의에 도내 전체 위험물 취급업소에 대한 선제적 조사와 위험 요인 확인을 지시했다. ⓒ 경기도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7일 '화성 아리셀 화재 참사'와 관련 도내 전체 위험물 취급 업소에 대한 선제적 조사와 위험 요인 확인을 지시했다. 이번 참사로 배터리 제조 업체와 리튬 안전성에 대한 도민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경기도는 이날부터 내달 4일까지 경기도 기후환경에너지국과 소방본부, 특별사법경찰단 합동점검반을 편성해 도내 48개 리튬 취급 사업장을 대상으로 긴급 안전 전수조사에 나선다. 

이번 전수조사는 환경부가 대형 전지 제조업체 위주로 점검을 한 데 따른 조치다. 48개 사업장에 대한 점검이 마무리되는 대로 나머지 38개 리튬 유통 사업장에 대한 점검도 진행할 방침이다.

앞서 지난 24일 경기 화성시 서신면에 있는 일차전지 제조업체 아리셀 공장에서 불이 나 23명이 숨지고 8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불합리한 관련 법령 개정 건의, 유족들에 대한 재정지원 방안 지시

김동연 지사는 이날 오전 긴급 대책회의에서 리튬사업장 합동점검 계획을 보고 받은 후 "도민 안전을 위해 선제적으로 움직여야 한다"면서 "리튬 외에 다른 유해화학물질, 위험물 등을 취급하는 업종에 대해서는 관리 권한이 정부에 있다고 하더라도 나서서 위험 요인을 확인하자"고 말했다.

김 지사는 이어 "기업 운영 상황을 고려해 점검, 행정지도 등의 방식 말고, 컨설팅 방식으로 안전 분야를 지원하자"면서 "컨설팅을 거부하는 사업장 등에 대해서는 명단을 공개하는 등 안전한 근로환경을 만들기 위한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a

24일 오전 경기 화성시 서신면의 일차전지 제조 업체 공장에서 불이 나 소방 당국이 진화에 나섰다. 사진은 연기가 치솟는 공장 건물. ⓒ 연합뉴스

 
김동연 지사는 제도개선 방안 마련도 주문했다. 그는 "현재 소관 법령 등에 따라 지방에 점검과 관리 권한이 없는 불합리한 상황이다. 지방으로 권한을 이양하는 내용의 관련 법령 개정을 건의해야 한다"면서 소방재난본부와 안전관리실 등에 관련 준비를 하도록 지시했다.


합동점검반은 7인 1조 총 6개 팀으로 구성되며 리튬 제조공장에는 소방기술사, 배터리·화학전문가, 환경전문가 등이 함께할 예정이다.

점검 내용은 유해화학물질 취급·보관·저장 기준 위반 여부,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안전진단 실시 여부, 관리자 선임 여부 등 환경 분야는 물론 건축물 안전도, 소방시설 및 위험도 관리 적정성 같은 소방 분야 점검도 이뤄진다.


경기도는 법적 기준은 지켰지만, 위험성이 있는지를 적극 발굴해 화재나 환경오염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 조치할 계획이다.
 
a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5일 오후 화성시청에서 화성 공장화재 사고 희생자 유가족을 만나 위로하고 있다. ⓒ 경기도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화성 아리셀 화재 참사' 유가족들에 대한 경제적 지원 방안도 논의됐다.

김동연 지사는 "유가족들에게는 지금 당장 경제적 지원이 절실할 것"이라며 "보험관계, 보상금 등의 상황을 따져보고, 특단의 방법으로 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라"고 말했다.
#김동연 #화성아리셀화재참사 #화성일차전지공장화재 #위험물취급소긴급점검 #아리셀참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사실 너머의 진실을 보겠습니다. <오마이뉴스> 선임기자(지방자치팀)


AD

AD

AD

인기기사

  1. 1 자식 '신불자' 만드는 부모들... "집 나올 때 인감과 통장 챙겼다"
  2. 2 10년 만에 8개 발전소... 1115명이 돈도 안 받고 만든 기적
  3. 3 김흥국 "'좌파 해병' 있다는 거, 나도 처음 알았다"
  4. 4 김건희 여사 연루설과 해병대 훈련... 의심스럽다
  5. 5 어떤 고위 공직자에게 하고 싶은 말 "ㄱㅈㄱ ㅅㅅㅇ ㅈㅋㅈ"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