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조선일보>를 '조선찌라시'로 패러디한 고려대학교 경제원론I 중간시험지.
ⓒ 프리존뉴스
"가상의 국가 『조선찌라시』에서는 열등재인 「빨간색깔」이라는 재화가 거래되고 있다. 『조선찌라시』의 국책연구소인 『월간조선찌라시뺑끼칠』에서는 동일한 양의 생산요소를 투입하여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새로운 「빨간색깔」생산기술을 개발하였다고 한다. 진보된 생산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빨간색깔」시장의 균형가격과 거래량은 어떻게 변화하는지 설명하지오.(10점)"

"가상의 국가 『맹바기나라』에서는 「서울봉헌」이라는 재화가 거래되고 있다. 「서울봉헌」이 거래되는 시장은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항상 일정하다고 한다. 「서울봉헌」시장의 공급측면에 대하여 약술하시오.(15점)"


이같은 문제는 네티즌이 쓴 패러디 글이 아니다. 실제로 지난해 10월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경제원론 중간고사 시험에 등장한 문제다.

<조선일보>를 '조선찌라시'로, <월간조선>은 '월간조선찌라시뺑끼칠', 이명박 서울시장은 '명바기'로 표현한 이 시험지가 언론에 보도되면서 많은 논란이 일고 있다.

인터넷신문 <프리존뉴스>는 10일 이 문제의 시험지를 입수 공개했다.

이 시험지에는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 박근혜 한나라당 총재, 주성영 한나라당 의원을 비유한 표현도 등장한다.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이아무개 시간강사가 제출한 것으로 보이는 이 시험지에서 이들은 모두 비꼬는 대상으로 패러디돼 등장한다.

▲ 지난해 제출된 고려대학교 경제원론I 중간시험지. '맹바기나라' '서울봉헌' '딴나라' '발끈해 공주' 등의 패러디가 눈길을 끈다.
ⓒ 프리존뉴스
"가상의 국가 『딴나라』에서 거래가 되고 있는 「창(昌)」이라는 재화의 시장수요함수와 시장공급함수가 다음과 같다고 한다. 『딴나라』의 화폐단위는 '친미'이고,「창」의 수량단위는 '삼수'이다."

"「창」시장의 균형가격이 너무 높다고 여긴『딴나라』의 '발끈해 공주'께서 상한가격을 300 친미로 설정하여 가격규제를 한다면,「창」시장에 대한 규제의 사회적 비용(규제로 인한 총잉여의 감소분)을 구하시오.(10점)"

"국해의원(國害擬員)인지 기생층(寄生層)인지 정체가 불분명한 '주성영씨'는 매달 10만원을 기생충(寄生蟲) 구입에 지출한다. 기생충 수요에 대한 '주성영씨'의 소득탄력성을 구하시오.(4점)"


문제의 시험 문제지에 담당교수로 이름이 적시된 시간강사 이씨는 <프리존뉴스>과 인터뷰에서 "시험 보는 학생들의 변별력을 위해 시험 문제를 항상 약간 비틀어서 내고 있다"며 "다른 시험에서는 (노무현 대통령을 패러디해) '개구리'라는 표현을 쓴 적도 있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시험문제를 직접 출제했는지에 대해서는 "확인해 줄 수 없다"며 즉답을 피했다고 <프리존뉴스>는 전했다.

이와 관련, 고려대학교 홍보팀은 "아직 경위를 파악하고 있는 중"이라며 공식적인 견해를 밝히지 않고 있다.

한편, 문제의 시험 문제를 바라보는 네티즌들의 평가는 "틀린 말 하나도 없다"와 "대학 시험문제 치고 너무 심하다"라는 견해가 극명하다.

출제자 "적절하지 못한 문제, 죄송합니다"
"수강생 실력 변별하기 위해 함정 만든 것"

문제의 시험을 출제했던 고려대 시간강사 이모씨가 "적절하지 못한 문제를 냈다"며 사과의 뜻을 밝혔다.

이모씨는 10일 낸 사과문에서 "수강생들이 많고 시험성적 편차는 굉장히 적은 과목의 특성으로 인해 수강생들의 실력을 변별하기 어려워 함정을 만들려 했다"라고 출제 의도를 해명했다.

고려대 홍보실측은 "시험문제의 내용을 사전에 알지 못했다"며 "시간강사 한 명이 개별적으로 낸 시험에 대해서 학교 차원의 입장이 있을 수 없다"고 밝혔다.

다음은 이모 강사가 낸 사과문 전문.

적절하지 못한 문제를 시험에 출제하여 많은 분들께 깊은 상처를 드리게 되어 죄송스러운 마음 그지 없습니다.

길지 않은 시간이었지만 열심히 강의하고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에 큰 보람을 얻었습니다. 수강생들이 많고 시험성적의 편차가 굉장히 적은 과목의 특성으로 인해 수강생들의 실력을 변별하기 어려워 함정을 만들려 한 것이 출제의 의도였습니다.

좀더 깊이 생각해서 수강생들과 문제지에 실려 있는 분들의 아픔을 생각했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해 후회스럽습니다.

제가 출제한 문제로 인해 깊은 상처를 입으신 수강생들과 문제지에 실려 있는 모든 분들께 사과드립니다.

2005. 8. 10

이○○

덧붙이는 글 | (시험지 전문)

경제원론 Ⅰ 중간시험
2004. 10. 19
담당교수: OOO

1.『이라크』에는 없고 『아메리카합중국』에 있는 재화「WMD(대량살상무기)」가 거래되는 가상의 시장은 외부성이 없는 완전경쟁시장, 즉 이상적인 시장이라고 한다. 효율성 측면에서 「WMD」시장의 균형에 대하여 논하시오.(30점)

2.가상의 국가 『조선찌라시』에서는 열등재인 「빨간색깔」이라는 재화가 거래되고 있다. 
a.『조선찌라시』의 국책연구소인 『월간조선찌라시뺑끼칠』에서는 동일한 양의 생산요소를
투입하여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새로운 「빨간색깔」생산기술을 개발하였다고 한다.
진보된 생산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빨간색깔」시장의 균형가격과 거래량은 어떻게 변화하는지 설명하지오.(10점)
b. 만약 『월간조선찌라시뺑끼칠』의 진보된 「빨간색깔」생산기술을 개발과 함께 동시에
『조선찌라시』의 소득세율이 상승하는 경우 「빨간색깔」의 균형가격과 거래량은 어떻게 변화하는지 설명하시오.(15점)

3. 가상의 국가 『맹바기나라』에서는 「서울봉헌」이라는 재화가 거래되고 있다. 「서울봉헌」이 거래되는 시장은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항상 일정하다고 한다. 「서울봉헌」시장의 공급측면에 대하여 약술하시오.(15점)

4. 가상의 국가 『딴나라』에서 거래가 되고 있는 「창(昌)」이라는 재화의 시장수요함수와 시장공급함수가 다음과 같다고 한다. 『딴나라』의 화폐단위는 ‘친미’이고,「창」의 수량단위는 ‘삼수’이다.
QD = -2P +1,600
Qs = 4P - 800
a. 「창」시장의 균형에서 가격과 거래량, 총잉여를 구하시오.(10점)
b. 「창」시장의 균형에서 수요와 공급의 가격탄력성을 구하시오.(10점)
c. 「창」시장의 균형가격이 너무 높다고 여긴『딴나라』의 “발끈해 공주”께서 상한가격을
300친미로 설정하여 가격규제를 한다면,「창」시장에 대한 규제의 사회적 비용( 규제로 인한 총잉여의 감소분)을 구하시오.(10점)

Bonus. 國害擬員인지 寄生層인지 정체가 불분명한 “주성영씨”氏는 매달 10만원을 「寄生蟲 」 구입에 지출한다. 「寄生蟲」수요에 대한 “주성영씨”氏의 소득탄력성을 구하시오.(4점)

사랑이 아름다운 건.
상대의 옷에 묻은 때를 깨끗이 세탁해 화려하게 해주고 상대의 몸에 찌든 때를 씻어 향기나게 해주어 세상을 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는 힘을 주기 때문입니다. 사랑한다면 사랑하는 사람에게 언제나 녹아서 작아지는 비누가 되길 바랍니다.


태그: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13,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