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오마이뉴스 이종호
새 국적법, 재외동포법 개정안(본회의 부결) 등을 내놨던 홍준표 한나라당 의원(사진)이 이번엔 성인 1인당 집을 1채씩만 갖도록 제한하는 일명 '주택소유제한 특별조치법'의 입법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혀 파장이 예상된다.

홍 의원은 지난 달 29일 KBS 라디오 <열린토론>에 출연해 이같은 구상을 처음 공개했었다. 그러나 당시엔 "나보다는 좌파인 참여정부에서 법을 내는 게 맞다"며 법안 발의 가능성을 일축했었다.

"주택 소유, 성인 1인당 1채씩만...위헌 가능성 낮다"

홍 의원은 14일 <오마이뉴스>와의 통화에서 "성인 1인당 2주택 이상은 갖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법을 만들어 9월 정기국회 때 발의할 계획"이라며 "현재 위헌 여부를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홍 의원은 "주택 문제, 집값에 불이 붙는 이유는 한 사람이 집을 2채, 3채 이상씩 가져서 발생하는 이른바 '가수요' 때문"이라며 "부동산 시장이 실수요자 중심으로 돌아가면 집값이 이렇게 오를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홍 의원은 "법안을 만들더라도 소유제한 범위에 콘도나 별장은 예외이고 오피스텔도 사무실의 개념이므로 포함되지 않는다"며 "그러나 주거를 목적으로 하는 주택은 사실상 성인 1인당 2채 이상을 가질 필요가 없으니 제한하자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홍 의원은 "소위 임대 수입을 목적으로 개인이 집을 여러 채 가진 경우도 있을 수 있겠지만 개인이 임대업을 하게 되면 탈세의 소지가 있다"며 "임대업은 모두 법인만 할 수 있도록 조정하면 된다"고 말했다.

이어 홍 의원은 "성인 1인당 주택을 2채 이상씩 갖지 못하도록 제한하면 주택시장에 몰리는 돈도 주식시장 등 다른 곳으로 갈 수 있다"며 "그러면 경제도 살고 서민 주거도 안정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법안의 긍정적인 효과를 설명했다.

법안의 위헌 여부에 대해서도 홍 의원은 "(위헌) 가능성이 낮다고 본다"고 일축했다. 헌법 37조 제2항을 근거로 주택 소유를 제한할 수 있다는 것.

헌법 제37조 2항은 '국민의 모든 자유와 권리는 국가안전보장, 질서유지 또는 공공복리를 위해 필요한 경우에 한해 법률로써 제한할 수 있으며 제한하는 경우에도 자유와 권리의 본질적인 내용을 침해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사회적 해악인 부동산 투기를 막자는 것은 '공공복리'이므로 이를 이유로 주택 소유도 제한할 수 있다는 게 홍 의원의 주장이다.

6월 말 한 라디오 프로그램서 '주택소유제한' 구상 처음 공개

한편, 홍 의원은 지난 달 KBS 라디오 <열린토론>에 출연해서도 한나라당의 부동산 정책을 묻는 한 청취자의 질문에 '개인 의견'임을 전제로 "주택 소유제한에 관한 특별조치법을 제정했으면 어떻겠나 하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홍 의원은 "정부의 부동산 대책은 알다시피 다 실패했다"며 "우리나라의 주택보급률은 100%가 넘었지만 서울은 무주택자가 60%나 된다"며 "최근 보도에 따르면 어떤 사람은 집을 46채나 갖고 있는 경우도 있다더라"고 말했다.

이어 홍 의원은 "부부 별산제가 시행되고 있으니 성인의 경우 부부는 각각 한 채 이상씩 못 갖게 하고 미성년자는 판결이나 상속 이외에는 주택 소유를 금지시키는 특별 법안이라도 만들어서 투기를 잡아야 하지 않느냐"라며 "우리 사회의 주택 투기가 얼마나 심하냐"라고 법안 제정 필요성을 설파했다.

관련
기사
"투기 근절 위해선 좌파정책도 OK"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