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눈부신 오월, 병원 뜨락에 살랑이는 연초록 나뭇잎이 갓돌을 맞은 앙증맞은 아가처럼 귀엽다. 사랑스럽다. 두어 해 전만 해도 그 뜨락에 나가 나뭇잎이 속삭이는 소리를 함께 들었던 오희옥 애국지사, 그러나 장기간 입원으로 기력이 쇠진해져 지난해에는 휠체어를 타고 병원 로비 등지에서 면회할 수 있었는데 이제는 병실 밖 출입이 어려워 침상에 누워계신 상태로 17일 오후 2시에 뵙고 왔다. 올해 98세, 강인한 정신력이 아니면 건강한 몸이라도 내일을 기약할 수 없는 나이다.

이번 병문안은 지난해 7월 30일에 뵙고 올해 들어 처음이니 무려 10개월여만이다. 평균 1~2개월에 한 번은 꼭 찾아뵈었는데 이렇게 길어진 것은 그동안 오희옥 지사의 건강 상태에 변동이 있어서였다. 거기다가 코로나19가 여전히 남아있어 병실 면회의 제한이 따르는 등 뵙고 싶어도 뵐 수 없는 상황이었다. 그 대신 오희옥 지사의 병상을 지키는 아드님 김흥태 선생과 자주 연락하면서 병문안의 기회를 엿보다가 어제 찾아뵈니 울컥 눈시울이 붉어졌다.
  
오희옥 지사가 나오는 동영상을 아드님이 보여 드리자, 동영상 시청에 열심인 모습
 오희옥 지사가 나오는 동영상을 아드님이 보여 드리자, 동영상 시청에 열심인 모습
ⓒ 이윤옥

관련사진보기

   
5월 10일, 98세 생일 케이크와 왕관을 병실 간호사들이 정성껏 차려주었다.
 5월 10일, 98세 생일 케이크와 왕관을 병실 간호사들이 정성껏 차려주었다.
ⓒ 이윤옥

관련사진보기

  
눈을 감고 깊은 잠에 빠진 듯하던 오희옥 지사는 이름을 부르며 기자가 왔다고 귀에 속삭이자, 기자 손을 꼭 잡으면서 눈을 떠 나를 알아봐 주었다. 순간, 안도감이 가슴을 쓸어내렸다. 사람의 수명이 한 없이 유지되는 것이 아닌지라, 언제나 병문안하고 다녀가는 날에는 안도의 한숨이 나오지만 이내 또 가슴을 졸이게 된다.

"어머니께서 평소에도 자주 말씀하셨듯이 어머니가 돌아가신 뒤에는 국립서울현충원에 가족(오희옥 지사 가족은 3대가 독립운동을 한 집안으로 아버지 오광선 장군 등 모두 국립서울현충원에 잠들어 있다)들과 함께 안장되실 수 있도록 국가보훈부에 요청한 바 있고, 국가보훈부에서도 다각적으로 검토하겠다는 답변을 들었습니다."

이 말은 오희옥 지사의 아드님 김흥태 선생의 말이다. 만주벌을 호령하던 아버지와 오랫동안 헤어져 살아야 했던 오희옥 지사께서 사후에 아버지와 어머니 곁에 영면하실 수 있도록 관계기관의 긍정적인 결과가 나오길 기대해 본다.

오희옥 지사는 2018년 3월 쓰러져 올해로 6년째 서울중앙보훈병원에서 투병 중이다. 병실을 나오며 곧 또 찾아뵙겠다고 하자 쥔 손을 더욱 꼭 잡으시던 오희옥 지사님! 다음 병문안 때까지 평온하시길 빈다.
 
병원 뜰에 나와 기자가 만들어 준 꽃반지도 끼고 예쁜 꽃도 머리에 꽂으며 즐거운 한때를 보내던 모습, 오희옥 지사와 기자
 병원 뜰에 나와 기자가 만들어 준 꽃반지도 끼고 예쁜 꽃도 머리에 꽂으며 즐거운 한때를 보내던 모습, 오희옥 지사와 기자
ⓒ 이윤옥

관련사진보기

  
여성독립운동가 오희옥 지사는 누구?
 

오희옥 지사는 할아버지 때부터 '3대가 독립운동을 한 일가'에서 태어나 1939년 4월 중국 유주에서 결성된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韓國光復陣線靑年工作隊), 1941년 1월 1일 광복군 제5지대(第5支隊)에서 광복군으로 활약했으며 1944년에는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의 당원으로 활동하였다(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오희옥 지사 집안은 명포수 출신인 할아버지 오인수 의병장(1867~1935), 중국 서로군정서에서 활약한 아버지 오광선 장군(1896~1967), 만주에서 독립군을 도우며 비밀 연락 임무 맡았던 어머니 정현숙(1900~1992), 광복군 출신 언니 오희영(1924~1969)과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참령(參領)을 지낸 형부 신송식(1914~1973) 등 온 가족이 독립운동에 투신했다.
 

덧붙이는 글 | 우리문화신문에도 보냈습니다


태그:#오희옥, #여성독립운동가, #독립운동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문학박사. 시인. 한일문화어울림연구소장, 한국외대 외국어연수평가원 교수, 일본 와세다대학 객원연구원, 국립국어원 국어순화위원, 민족문제연구소 운영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냄 저서 《사쿠라 훈민정음》, 《오염된국어사전》, 여성독립운동가를 기리는 시집《서간도에 들꽃 피다 》전 10권, 《인물로 보는 여성독립운동사》외 다수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